2005-11-08
org.kosen.entty.User@2eb07bf1
이호진(hjinlab)
- 5
단백질의 기능을 알기 위해 Web을 이용해 SNP 분석 정보를 찾았습니다. 이 SPN과 질병과의 관련성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 snp
- bioinformatic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5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5-11-09- 0
>단백질의 기능을 알기 위해 Web을 이용해 SPN 분석 정보를 찾았습니다. 이 SPN과 질병과의 관련성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
답변
박영관님의 답변
2005-11-10- 0
병원의 의사에게 찾을 때는 그만한 이유가 있어서 찾아 갑니다. 어디가 불편하다든지... 아니면 이상징후가 있어서 상담을 하게 되죠. 우리의 게놈에는 유전자 보다도 많은 SNPs가 있읍니다. 모든 SNPs가 의미 있는지는 모르지만, 의미있는 SNPs를 찾아서 그것이 어떻게 기능을 달리하는지 연구하고 있죠. 본인이 어떤 연구를 하시고 계신지 그 유전자의 SNPs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논리적으로 잘 확인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혹시, 자기의 연구목적과 관계없이 우연히 알게된 유전자의 SNPs가 질병(또는 어떤 기능)과 관련이 없을까~를 단순히 질문 올리신거라면.... NCBI의 등록되어 있는 유전자의 자료(논문 등)을 검토하시면 궁굼해하시는 대충의 정보를 아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 >단백질의 기능을 알기 위해 Web을 이용해 SNP 분석 정보를 찾았습니다. 이 SPN과 질병과의 관련성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
답변
이호진님의 답변
2005-11-10- 0
>단백질의 기능을 알기 위해 Web을 이용해 SPN 분석 정보를 찾았습니다. 이 SNP과 질병과의 관련성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5-11-11- 0
NCBI의 OMIN에서 특정 단백질의 특정 SNP의 질환관련성에 대한 자료를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SNP와 질환의 관련성의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연구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질환을 정확히 정의하고 분류를 하여야 합니다. 그렇게 되어야 정상과 환자를 정확히 선별할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면 천식이나 당뇨병의 경우 환자마다 발생하는 이유가 다르고 나타나는 증상의 차이는 매우 큽니다. 즉 spectrum이 너무 넓습니다. 그러므로 어떤 기준을 가지고 당뇨환자를 classify를 해야만 SNP와 연관성 연구가 본격화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런데 아직 질환을 정확히 define하고 classify하지도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질환 관련성을 보기에는 힘들 수 있습니다. Association study나 linkage analysis 등을 통해 어느정도의 정보를 얻을 수는 있으나 대부분의 질환은 multi-gene disorder이기 때문에 특정 SNP가 얼마나 기여할까라는 것을 찾기가 힘들 수 있습니다. 더욱 힘든건 특정 SNP와 질환과의 관련성이 밝혀지더라도 이 SNP를 가지면서도 질환에 걸리지 않은 정상인은 어떻게 설명할지에 대한 문제가 되겠죠...또한 인종간의 차이점도 문제겠지요...Korean에서 나타나는 SNP는 질환과 관련성을 보이는데 Caucacian에서 나타나는 SNP는 관련성이 없을 수 있습니다. 이런 예들은 현재도 나와 있는 결과들 이지요... Pharmacogenetics/Pharmacogenomics는 약물대사라는 정확한 기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질환과의 연관성과는 조금 다른 문제겠지요... >단백질의 기능을 알기 위해 Web을 이용해 SNP 분석 정보를 찾았습니다. 이 SPN과 질병과의 관련성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
답변
DELETED님의 답변
2010-01-09- 0
>단백질의 기능을 알기 위해 Web을 이용해 SNP 분석 정보를 찾았습니다. 이 SPN과 질병과의 관련성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re: 특정 질환을 연구하고 계시다면, 당연히 그 유전자의 SNP와의 연관성 분석을 하리라 봅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PCR로 genotyping하시면 됩니다. 환자군과 control sample에서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