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1-16
org.kosen.entty.User@4469077f
김정곤(stsusu)
- 2
1. Ek=hv-Eb-Φ 에서.. 일함수가 왜 spectrometer의 일함수가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2. 화학적이동에 관한건데요.. 화합물의 경우는 화학적이동에 의해 결합에너지가 달라져서 피크가 이동되어 나타나는데요.. 이때 그 피크가 화학적이동에 의해 이동된 피크인지 어떻게 알수가 있나요? 이렇게 이동된피크라면 어떤원소의 피크인지 어떻게 알수 있나요?
3. ESCA에서 소스는 X-ray인데 왜Electron gun 이 장착이 되어있나요?
4. 그리고 소스를 X-ray를 쓰는데 왜 시편은 전기전도성을 가져야 하죠?
대전될일이 없을 것같은데..
- ESCA
- XPS
- UP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정일택님의 답변
2005-11-16- 0
>1. Ek=hv-Eb-Φ 에서.. 일함수가 왜 spectrometer의 일함수가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 >2. 화학적이동에 관한건데요.. 화합물의 경우는 화학적이동에 의해 결합에너지가 달라져서 피크가 이동되어 나타나는데요.. 이때 그 피크가 화학적이동에 의해 이동된 피크인지 어떻게 알수가 있나요? 이렇게 이동된피크라면 어떤원소의 피크인지 어떻게 알수 있나요? > >3. ESCA에서 소스는 X-ray인데 왜Electron gun 이 장착이 되어있나요? > >4. 그리고 소스를 X-ray를 쓰는데 왜 시편은 전기전도성을 가져야 하죠? >대전될일이 없을 것같은데.. 1.번은 더 공부해서 알게되면 말씀드릴께요. 2.번은 화학적인건 잘 모르는데 웨이브벡터가 변하는거에요?? 잘 모르겠오요~ 3.번은 전자를 X-ray 수준으로 가속해서 쏘는 걸 의미하지 않나요? 맞나 ^^ 4. 전자를 쏘고 시편에서 일함수를 제외한 나머지 에너지가 빛 형태로 튕겨저 나오는 걸 잡는거 아니던가 ^^; 히~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이상 허접 예비 실업자 답변 ㅠㅠ -
답변
이재명님의 답변
2005-11-16- 0
>1. Ek=hv-Eb-Φ 에서.. 일함수가 왜 spectrometer의 일함수가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 >2. 화학적이동에 관한건데요.. 화합물의 경우는 화학적이동에 의해 결합에너지가 달라져서 피크가 이동되어 나타나는데요.. 이때 그 피크가 화학적이동에 의해 이동된 피크인지 어떻게 알수가 있나요? 이렇게 이동된피크라면 어떤원소의 피크인지 어떻게 알수 있나요? > >3. ESCA에서 소스는 X-ray인데 왜Electron gun 이 장착이 되어있나요? > >4. 그리고 소스를 X-ray를 쓰는데 왜 시편은 전기전도성을 가져야 하죠? >대전될일이 없을 것같은데.. 1. 예전에 분명히 들었는데 잘 생각이 안나는군요. 대략 난감. 근데, 측정하는 부위므로 반드시 값이 포함되게 되어있는것 아닌가요? 즉 측정된 값은 spectrometer의 일함수 만큼 더해지는게 당연한것 같은데. 2. 표준샘플로 찍은것으로 값을 알수 있고, binding energy 계산에 의해서도 예측됩니다. 기계마다 측정값이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정확한 실험을 하시는 분들은 반드시 표준시료로 측정합니다. 그리고, 다른 불순물에 의한 피크인지 chemical shift인지는 스펙트럼을 분석해보면 알게 되어 있습니다. 하나의 원소에 의해서 여러개의 피크가 나타나므로, chemical shift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이동하는 형태가 보이며, 화학결합을하는 상대원소의 위치도 이동한것을 관찰할수 있습니다. 3. 전자빔이 anode 표면에 입사되어 X-ray가 방출되는것 아니던가요? Anode는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이었던것 같은데... 4. 잘못 알고 계신것 같네요. 시료는 반도체, 부도체 모두 잘 측정 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