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오존을 이용한 peroxide 혹은 hydroperoxide의 형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미생물 표면에 ozone을 이용하여 peroxide를 만든 후 Acrylic acid(AAc)를 graft시킬려고 합니다. 결과적으로는 미생물 표면에 poly-AAc가 주렁주렁 매달리게 되겠죠. 그런데 이 ozone을 처리하는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밑에 제가 관련된 paper에서 ozone처리하는 방법이 나온 부분을 붙여놨습니다. 여기서는 미생물이 들어있는 reactor 안에 ozone농도가 27ppm이 되도록 ozone gas를 주입해주었다고 나와 있네요. 그런데 reactor 안에 들어 있는 건조된 미생물(biomass)에 gas를 공기중에 주입하였을까요? 아니면 미생물이 물에 현탁되어 있는 상태에서 gas가 물속으로 주입되었을까요? 이 논문에는 표현이 조금 애매하게 되어있는것 같고, 제가 알고 싶은것은 일반적인 경우에 ozone을 이용하여 peroxide를 만들때(꼭 미생물이 아니어도 됩니다) ozone gas가 물속으로 주입되느냐...아니면 공기중으로 주입되느냐 입니다. 요런걸 graft copolymerization 이라고 하더군요 ^^; Wet biomass was freeze-dried and placed into a flask. The treatment of the biomass was carried out in a gas-phase reactor at 25도씨. A continuous stream of O3/O2 mixture generated from an Azcozon RMU16-04EM ozone generator was blown into the reactor at 300 L/h to provide an ozone concentration of about 0.027 g/L of the gaseous mixture. After a treatment time of about 30min, the biomass was immediately placed in a 30% solution of AAc in a three neck round-bottom flask equipped with a thermometer, a condenser, and a gas line. The grafting process was performed in a nitrogen atmosphere at 60도씨 for 0.5-4h under stirring. Shubo Deng and Yen Peng Ting, Fungal biomass with grafted poly(acrylic acid) for enhancement of Cu(II) and Cd(II) biosorption, Langmuir, 2005, 5940-5948.
  • ozone
  • peroxide
  • graf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박현웅님의 답변

    >미생물 표면에 ozone을 이용하여 peroxide를 만든 후 Acrylic acid(AAc)를 graft시킬려고 합니다. 결과적으로는 미생물 표면에 poly-AAc가 주렁주렁 매달리게 되겠죠. >그런데 이 ozone을 처리하는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밑에 제가 관련된 paper에서 ozone처리하는 방법이 나온 부분을 붙여놨습니다. 여기서는 미생물이 들어있는 reactor 안에 ozone농도가 27ppm이 되도록 ozone gas를 주입해주었다고 나와 있네요. >그런데 reactor 안에 들어 있는 건조된 미생물(biomass)에 gas를 공기중에 주입하였을까요? 아니면 미생물이 물에 현탁되어 있는 상태에서 gas가 물속으로 주입되었을까요? >이 논문에는 표현이 조금 애매하게 되어있는것 같고, 제가 알고 싶은것은 일반적인 경우에 ozone을 이용하여 peroxide를 만들때(꼭 미생물이 아니어도 됩니다) ozone gas가 물속으로 주입되느냐...아니면 공기중으로 주입되느냐 입니다. >요런걸 graft copolymerization 이라고 하더군요 ^^; > > > > > >Wet biomass was freeze-dried and placed into a flask. The treatment of the biomass was carried out in a gas-phase reactor at 25도씨. A continuous stream of O3/O2 mixture generated from an Azcozon RMU16-04EM ozone generator was blown into the reactor at 300 L/h to provide an ozone concentration of about 0.027 g/L of the gaseous mixture. After a treatment time of about 30min, the biomass was immediately placed in a 30% solution of AAc in a three neck round-bottom flask equipped with a thermometer, a condenser, and a gas line. The grafting process was performed in a nitrogen atmosphere at 60도씨 for 0.5-4h under stirring. > >Shubo Deng and Yen Peng Ting, Fungal biomass with grafted poly(acrylic acid) for enhancement of Cu(II) and Cd(II) biosorption, >Langmuir, 2005, 5940-5948. >> 이 논문에서는 먼저 미생물이 들어있는 반응기속에 오존 (과 산소 혼합)을 기상으로 불어 넣은 것 같습니다.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에 (제 생각으로는) 미생물 표면에 오존이 흡착되었을 것 같습니다. 그런 후 오존이 흡착된 미생물을 AAc 용액에 넣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오존 실험할 때는 기상과 액상 반응 모두 가능합니다. 기상 실험을 하려면 기상으로 불어 넣어주면 되고 액상 실험을 하려면 액상에 불어넣어 주어서 액상에 일정량만큰 녹게 하는 것입니다.
    >미생물 표면에 ozone을 이용하여 peroxide를 만든 후 Acrylic acid(AAc)를 graft시킬려고 합니다. 결과적으로는 미생물 표면에 poly-AAc가 주렁주렁 매달리게 되겠죠. >그런데 이 ozone을 처리하는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밑에 제가 관련된 paper에서 ozone처리하는 방법이 나온 부분을 붙여놨습니다. 여기서는 미생물이 들어있는 reactor 안에 ozone농도가 27ppm이 되도록 ozone gas를 주입해주었다고 나와 있네요. >그런데 reactor 안에 들어 있는 건조된 미생물(biomass)에 gas를 공기중에 주입하였을까요? 아니면 미생물이 물에 현탁되어 있는 상태에서 gas가 물속으로 주입되었을까요? >이 논문에는 표현이 조금 애매하게 되어있는것 같고, 제가 알고 싶은것은 일반적인 경우에 ozone을 이용하여 peroxide를 만들때(꼭 미생물이 아니어도 됩니다) ozone gas가 물속으로 주입되느냐...아니면 공기중으로 주입되느냐 입니다. >요런걸 graft copolymerization 이라고 하더군요 ^^; > > > > > >Wet biomass was freeze-dried and placed into a flask. The treatment of the biomass was carried out in a gas-phase reactor at 25도씨. A continuous stream of O3/O2 mixture generated from an Azcozon RMU16-04EM ozone generator was blown into the reactor at 300 L/h to provide an ozone concentration of about 0.027 g/L of the gaseous mixture. After a treatment time of about 30min, the biomass was immediately placed in a 30% solution of AAc in a three neck round-bottom flask equipped with a thermometer, a condenser, and a gas line. The grafting process was performed in a nitrogen atmosphere at 60도씨 for 0.5-4h under stirring. > >Shubo Deng and Yen Peng Ting, Fungal biomass with grafted poly(acrylic acid) for enhancement of Cu(II) and Cd(II) biosorption, >Langmuir, 2005, 5940-5948. >> 이 논문에서는 먼저 미생물이 들어있는 반응기속에 오존 (과 산소 혼합)을 기상으로 불어 넣은 것 같습니다.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에 (제 생각으로는) 미생물 표면에 오존이 흡착되었을 것 같습니다. 그런 후 오존이 흡착된 미생물을 AAc 용액에 넣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오존 실험할 때는 기상과 액상 반응 모두 가능합니다. 기상 실험을 하려면 기상으로 불어 넣어주면 되고 액상 실험을 하려면 액상에 불어넣어 주어서 액상에 일정량만큰 녹게 하는 것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