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1-30
org.kosen.entty.User@3ad92e3f
윤연숙(segovia3)
- 1
안녕하세요.
저는 이론전공이어서 실험결과를 이해하기 좀 힘든 경우가 있습니다.
실험에서, 고체를 이루는 원자의 interstitial diffusion 과
vacancy diffusion 를 어떻게 구분하여 측정하는지요.
vacancy나 interstitial이 어떤 경로를 통해서 이동할 것인지는 여러 경우로 나누어서 생각해 볼 수는 있지만, 실험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interstitial이 움직인 것인지, vacancy가 움직인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interstitial diffusion
- vacancy diffusion
- activation energ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지세환님의 답변
2005-12-01- 0
>안녕하세요. >저는 이론전공이어서 실험결과를 이해하기 좀 힘든 경우가 있습니다. > >실험에서, 고체를 이루는 원자의 interstitial diffusion 과 >vacancy diffusion 를 어떻게 구분하여 측정하는지요. > >vacancy나 interstitial이 어떤 경로를 통해서 이동할 것인지는 여러 경우로 나누어서 생각해 볼 수는 있지만, 실험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interstitial이 움직인 것인지, vacancy가 움직인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 원자가 움직이는것을 눈으로 확인하시겠다는것은 아니겠지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중성자에 조사된 STEEL 의 경우 경도가 증가하는데 이로부터 INTERSTITIAL 과 VACANCY 가 많이 생겨 이들이 상호작용하여 경도증가의 원인이 되었음을 알수있음 (FIM 으로 확인가능). 이제 서서히 조사온도 이상으로 올리면서 저항감소와 경도저하등을 측정하면 recovery activation energy 결정가능. 이를 해석하면 어느온도구간에서 interstitial 이, 어느온도구간에서는 vacancy 가 움직였다는것을 알수있음(회복). 질문의 답: “activation energy“ 로 구분가능함. 회복실험시의 Activation Energy 결정방법은 A. C. Damask-G. J. Dienns 의 Point Defects in Metals (pp.145-161)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