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미생물 표면 구조에 대하여

박테리아의 경우에는 그램양성균과 그램음성균이 있죠. 그램양성균은 cell membrane 바깥에 두꺼운 peptidoglycan layer가 존재 합니다. peptidoglycan layer는 polysaccharide가 peptide bonding에 의해 연결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그램음성균은 그러한 peptidoglycan layer가 안쪽에 존재하며 두께 또한 얇습니다. 그램음성균은 phopholipid로 구성된 cell membrane 이 세포 표면을 이루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이러한 박테리아 이외에 yeast나 fungi의 표면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입니다. 생화학책이나 미생물학책을 찾아봐도 박테리아에 대해서만 나오지 yeast나 fungi에 대해서는 안나오더군요. 제가 생물쪽 전공이 아니라서 그러니 기본적인 것두 모른다고 너무 타박하지 말아 주시길 ^^; 아시는분 좀 알려주세요~~ 관련서적이나 paper를 소개해 주셔도 좋아요~~ 감사합니다.
  • surface
  • structur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윤철희님의 답변

    1. Yeast 세포벽 구성성분으로는 beta-1,3-glucan and 1,6-glucan, mannan, chitin등이 있고, 글루칸은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Fungus 세포벽도 chitin이나 글루칸과 같은 탄수화물이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단백질, 지질이 함께 non-covalent bonds (많은 경우에, hydrophobic, hydrogen bonds)와 covalent bonds에 의해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3. 사실 60년대에 많이 연구되어지다가 최근들어 면역반응에 pattern-recognition 이론이 등장하면서 다시 활발히 연구되어지는 분야입니다. 예를들어, Cell Wall Chemistry, Morphogenesis, and Taxonomy of Fungi (by S. Bartnicki-Garcia), Annual Review of Microbiology, October 1968, Vol. 22, Pages 87-108. 4. 최근에도 물론 연구되어지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Osumi M. The ultrastructure of yeast: cell wall structure and formation. Micron. 1998 Apr-Jun;29(2-3):207-33. 5. 참고하세요. http://www.horizonpress.com/hsp/abs/abspfsb.html 6. 그리고, 참고로 질문하신 부분에서 잘못 이해하고 계신 부분을 말씀드리면, polysaccharide는 endotoxin이라하여 그람 네가티브 박테리아에만 특이적으로 존재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 >박테리아의 경우에는 그램양성균과 그램음성균이 있죠. 그램양성균은 cell membrane 바깥에 두꺼운 peptidoglycan layer가 존재 합니다. peptidoglycan layer는 polysaccharide가 peptide bonding에 의해 연결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그램음성균은 그러한 peptidoglycan layer가 안쪽에 존재하며 두께 또한 얇습니다. 그램음성균은 phopholipid로 구성된 cell membrane 이 세포 표면을 이루고 있습니다. > >제가 궁금한 것은 이러한 박테리아 이외에 yeast나 fungi의 표면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입니다. 생화학책이나 미생물학책을 찾아봐도 박테리아에 대해서만 나오지 yeast나 fungi에 대해서는 안나오더군요. >제가 생물쪽 전공이 아니라서 그러니 기본적인 것두 모른다고 너무 타박하지 말아 주시길 ^^; 아시는분 좀 알려주세요~~ 관련서적이나 paper를 소개해 주셔도 좋아요~~ >감사합니다.
    1. Yeast 세포벽 구성성분으로는 beta-1,3-glucan and 1,6-glucan, mannan, chitin등이 있고, 글루칸은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Fungus 세포벽도 chitin이나 글루칸과 같은 탄수화물이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단백질, 지질이 함께 non-covalent bonds (많은 경우에, hydrophobic, hydrogen bonds)와 covalent bonds에 의해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3. 사실 60년대에 많이 연구되어지다가 최근들어 면역반응에 pattern-recognition 이론이 등장하면서 다시 활발히 연구되어지는 분야입니다. 예를들어, Cell Wall Chemistry, Morphogenesis, and Taxonomy of Fungi (by S. Bartnicki-Garcia), Annual Review of Microbiology, October 1968, Vol. 22, Pages 87-108. 4. 최근에도 물론 연구되어지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Osumi M. The ultrastructure of yeast: cell wall structure and formation. Micron. 1998 Apr-Jun;29(2-3):207-33. 5. 참고하세요. http://www.horizonpress.com/hsp/abs/abspfsb.html 6. 그리고, 참고로 질문하신 부분에서 잘못 이해하고 계신 부분을 말씀드리면, polysaccharide는 endotoxin이라하여 그람 네가티브 박테리아에만 특이적으로 존재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 >박테리아의 경우에는 그램양성균과 그램음성균이 있죠. 그램양성균은 cell membrane 바깥에 두꺼운 peptidoglycan layer가 존재 합니다. peptidoglycan layer는 polysaccharide가 peptide bonding에 의해 연결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그램음성균은 그러한 peptidoglycan layer가 안쪽에 존재하며 두께 또한 얇습니다. 그램음성균은 phopholipid로 구성된 cell membrane 이 세포 표면을 이루고 있습니다. > >제가 궁금한 것은 이러한 박테리아 이외에 yeast나 fungi의 표면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입니다. 생화학책이나 미생물학책을 찾아봐도 박테리아에 대해서만 나오지 yeast나 fungi에 대해서는 안나오더군요. >제가 생물쪽 전공이 아니라서 그러니 기본적인 것두 모른다고 너무 타박하지 말아 주시길 ^^; 아시는분 좀 알려주세요~~ 관련서적이나 paper를 소개해 주셔도 좋아요~~ >감사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