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형광측정시에 monochromator방식과 filter방식의 차이는 뭔가요?

밑에 질문과 내용이 비슷한데요, 형광을 측정할 때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식이 monochromator를 이용하는 방식과 fliter type이 주류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filter의 경우, 예를 들어서 500/10nm의 filter는 495-505nm의 파장을 측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렇게 filter 방식으로 부터 400-600nm 까지 10nm 단위로 spectrum을 얻었다고 하면 (물론 일반적으로 spectrum을 얻는데 filter방식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monochromator로 부터 얻은 spectrum과 등치시키는 방법이 있나요? 예를 들어서 monochromator 방식으로 부터 얻은 spectrum의 intensity를 10nm단위로 평균을 내거나 합을하는 방식으로 filter에서 얻은 spectrum과 같게 표현하는게 타당성이 있느냐 하는거죠. 생물 전공이라서 광학쪽으로는 많이 부족합니다. 되도록이면 쉬운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 형광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최대욱님의 답변

    분광장치를 다루어본지가 2-3년전이라서 기역이 가물합니다... 참고가 될수 있는지 모르겠네요... 모노크로메타로부터 얻은 형광스펙트럼을 필터방식으로 같게 나타내기에는 상당이 힘들것 같습니다... 첫번째로. 모노크로메타 내부에는 회절격자라는게 있어서 원하는 단색광파장을 보네주는데 이 회절격자의 파장에 대한 상대적인 효율이 각각 다르기 때문입니다. 필터의 투과율이 어는정도인지는 잘모르지만 대부분 상당이 높은것을 이용하지만 모노크로메타 내부에 있는 회절격자는 아마도 이보다는 낮고 파장에 대한 효율도 선형적이지 않기 때문에 상당이 힘들지 않나 생각듭니다. 두 번째 모노크로메타와 필터방식으로 형광측정시 동일한 검출기를 사용했나 하는 점인데 검출기를 다른종류로 사용했으면 파장에 대한 양자효율을 고려해야 합니다. 세번째로 광원에서 샘플까지거리와 샘플에서 검출기사이의 거리가 동일하게 해서 실험을 해야하는데에 이것은 그렇게 문제가 되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일반광원이나 형광의 세기는 거리의 제곱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에 서로 보상할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위의 3가지 사항을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넘 힘든작업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위의 사항이 해결되면 각각합치면 필터방식의 형광과 일치시킬수 있을것 같습니다.
    분광장치를 다루어본지가 2-3년전이라서 기역이 가물합니다... 참고가 될수 있는지 모르겠네요... 모노크로메타로부터 얻은 형광스펙트럼을 필터방식으로 같게 나타내기에는 상당이 힘들것 같습니다... 첫번째로. 모노크로메타 내부에는 회절격자라는게 있어서 원하는 단색광파장을 보네주는데 이 회절격자의 파장에 대한 상대적인 효율이 각각 다르기 때문입니다. 필터의 투과율이 어는정도인지는 잘모르지만 대부분 상당이 높은것을 이용하지만 모노크로메타 내부에 있는 회절격자는 아마도 이보다는 낮고 파장에 대한 효율도 선형적이지 않기 때문에 상당이 힘들지 않나 생각듭니다. 두 번째 모노크로메타와 필터방식으로 형광측정시 동일한 검출기를 사용했나 하는 점인데 검출기를 다른종류로 사용했으면 파장에 대한 양자효율을 고려해야 합니다. 세번째로 광원에서 샘플까지거리와 샘플에서 검출기사이의 거리가 동일하게 해서 실험을 해야하는데에 이것은 그렇게 문제가 되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일반광원이나 형광의 세기는 거리의 제곱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에 서로 보상할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위의 3가지 사항을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넘 힘든작업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위의 사항이 해결되면 각각합치면 필터방식의 형광과 일치시킬수 있을것 같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