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ercoll (gradient) method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Tissue를 single cell로 분리한 이후, 상피세포를 얻으려고 합니다. Percoll gradient method라는 말이 책에 나오는데, 어떤 용매가 따로 있는 것인지, 어떻게 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하는 것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Percol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윤철희님의 답변

    Percoll과 Ficoll 등의 이름으로 불리우는 용액들을 구입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pdf 참조). 이러한 용매가 나오기 전에는 sucrose등을 사용하여 포도당:PBS를 9:1, 8:2, 7:3, 6:4, 5:5, 4:6, 3:7, 2:8, 1:9로 조심스럽게 튜브에 layer를 만든 후 분리하고자 하는 시료를 맨위 (또는 맨 아래)에 두고 centrifugation을 하여 각각의 layer에서 나오는 부분을 취하여 실험을 하곤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제 상기 용액들을 사용하면 특정 portion이 layer를 형성하기 때문에 실험이 훨씬 쉬워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in vivo sample일 경우에는 purity가 아무래도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참고로 magnetic bead assay로 죽은 세포를 걸러내는 방법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첨부한 pdf를 보시면 이들 용액에 대한 설명이 나와있습니다. >Tissue를 single cell로 분리한 이후, 상피세포를 얻으려고 합니다. >Percoll gradient method라는 말이 책에 나오는데, 어떤 용매가 따로 있는 것인지, 어떻게 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하는 것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ercoll과 Ficoll 등의 이름으로 불리우는 용액들을 구입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pdf 참조). 이러한 용매가 나오기 전에는 sucrose등을 사용하여 포도당:PBS를 9:1, 8:2, 7:3, 6:4, 5:5, 4:6, 3:7, 2:8, 1:9로 조심스럽게 튜브에 layer를 만든 후 분리하고자 하는 시료를 맨위 (또는 맨 아래)에 두고 centrifugation을 하여 각각의 layer에서 나오는 부분을 취하여 실험을 하곤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제 상기 용액들을 사용하면 특정 portion이 layer를 형성하기 때문에 실험이 훨씬 쉬워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in vivo sample일 경우에는 purity가 아무래도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참고로 magnetic bead assay로 죽은 세포를 걸러내는 방법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첨부한 pdf를 보시면 이들 용액에 대한 설명이 나와있습니다. >Tissue를 single cell로 분리한 이후, 상피세포를 얻으려고 합니다. >Percoll gradient method라는 말이 책에 나오는데, 어떤 용매가 따로 있는 것인지, 어떻게 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하는 것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