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cellular uptake와 confocal 실험의 차이

안녕하세요 실험을 하는중에 의문점이 생겨서요 제가 요새 cell에 inhibitor처리를 한후 저의 ligand를 가지고 cellular uptake 실험과 confocal 현미경관찰을 하고 있습니다 이 두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해석하는데 차이점이 뭔가요? 제가 들은 바로는 cellular uptake실험은 cell membrane에 흡착된것까지 다 보는거고 confocal은 internalize된것만 보는거라고 하는데.... 제생각에는 그냥 정량적으로 보는가 아니면 비쥬얼하게 정성적으로 보는가의 차이가 아닐까 싶어서요... 그럼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꾸벅
  • cellular uptak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구체적인 실험내용을 잘몰라서 제가 짐작하는 선에서 일반적인 얘기를 하겠습니다. 특정 molecule의 uptake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겠죠. 세포밖과 세포안은 plasma membrane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분되므로 특정 molecule의 농도를 세포밖과 안의 농도를 구분하여 측정하는 것은 크게 어려운 일이 아닐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농도를 측정할 것인가가 문제인데 이는 molecule의 특성을 이용해야겠죠. 또한 방법론 쪽으로도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세포를 죽여서 보는 방법도 있을 것이고 살아있는 상태에서 볼 수도 있습니다. End-point에서 살펴볼 수도 있고 시간대 별로 볼 수도 있고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생화학적 분석도 가능하고 생물리학적 분석도 가능하겠죠...세포에 들어간 모든 ligand를 측정할 수도 있겠고 특정 organelle의 분획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물론 실험마다 정확도와 정밀성 등의 파라미터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겠죠. 그러므로 Confocal 현미경은 ligand의 uptake를 측정하는 하나의 방법이죠. Confocal에서도 fluorescence intensity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성뿐만 아니라 정량분석까지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실험을 하는중에 의문점이 생겨서요 >제가 요새 cell에 inhibitor처리를 한후 저의 ligand를 가지고 >cellular uptake 실험과 confocal 현미경관찰을 하고 있습니다 > >이 두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해석하는데 차이점이 뭔가요? > >제가 들은 바로는 cellular uptake실험은 cell membrane에 흡착된것까지 다 보는거고 confocal은 internalize된것만 보는거라고 하는데.... > >제생각에는 그냥 정량적으로 보는가 아니면 비쥬얼하게 정성적으로 보는가의 차이가 아닐까 싶어서요... > >그럼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 >꾸벅
    구체적인 실험내용을 잘몰라서 제가 짐작하는 선에서 일반적인 얘기를 하겠습니다. 특정 molecule의 uptake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겠죠. 세포밖과 세포안은 plasma membrane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분되므로 특정 molecule의 농도를 세포밖과 안의 농도를 구분하여 측정하는 것은 크게 어려운 일이 아닐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농도를 측정할 것인가가 문제인데 이는 molecule의 특성을 이용해야겠죠. 또한 방법론 쪽으로도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세포를 죽여서 보는 방법도 있을 것이고 살아있는 상태에서 볼 수도 있습니다. End-point에서 살펴볼 수도 있고 시간대 별로 볼 수도 있고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생화학적 분석도 가능하고 생물리학적 분석도 가능하겠죠...세포에 들어간 모든 ligand를 측정할 수도 있겠고 특정 organelle의 분획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물론 실험마다 정확도와 정밀성 등의 파라미터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겠죠. 그러므로 Confocal 현미경은 ligand의 uptake를 측정하는 하나의 방법이죠. Confocal에서도 fluorescence intensity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성뿐만 아니라 정량분석까지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실험을 하는중에 의문점이 생겨서요 >제가 요새 cell에 inhibitor처리를 한후 저의 ligand를 가지고 >cellular uptake 실험과 confocal 현미경관찰을 하고 있습니다 > >이 두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해석하는데 차이점이 뭔가요? > >제가 들은 바로는 cellular uptake실험은 cell membrane에 흡착된것까지 다 보는거고 confocal은 internalize된것만 보는거라고 하는데.... > >제생각에는 그냥 정량적으로 보는가 아니면 비쥬얼하게 정성적으로 보는가의 차이가 아닐까 싶어서요... > >그럼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 >꾸벅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