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meg/g이 무슨 의미죠?

탄소 나노튜브의 산화관련 논문에서 산염기 적정을 통해 산화된 관능기의 농도를 표시하는데meg/g으로 농도표시를 해놓았네요. 이게 무슨 단위인가요? 혹시 그람당 십의육승개 라는 표시인가요?
  • meg/g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5
  • 답변

    임석묵님의 답변

    >탄소 나노튜브의 산화관련 논문에서 산염기 적정을 통해 산화된 관능기의 농도를 표시하는데meg/g으로 농도표시를 해놓았네요. 이게 무슨 단위인가요? > 혹시 그람당 십의육승개 라는 표시인가요? 네, 그렇습니다. >
    >탄소 나노튜브의 산화관련 논문에서 산염기 적정을 통해 산화된 관능기의 농도를 표시하는데meg/g으로 농도표시를 해놓았네요. 이게 무슨 단위인가요? > 혹시 그람당 십의육승개 라는 표시인가요? 네, 그렇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응신님의 답변

    탄소나노튜브를 잘 몰라 답이 정확한지는 모르겠으나... SI 단위계의 표기법에서 10의 승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대문자와 소문자를 섞어서 나타내고 있습니다. ... 10: da 102 : h 103 : k 106 : M 109 : G 1012: T ... 라고 표기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106를 표시하는 방법이 틀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마 어떤 저자가 표기를 잘못한 듯 합니다. 만약 대문자로 M을 사용했다면 맞습니다. >탄소 나노튜브의 산화관련 논문에서 산염기 적정을 통해 산화된 관능기의 농도를 표시하는데meg/g으로 농도표시를 해놓았네요. 이게 무슨 단위인가요? > 혹시 그람당 십의육승개 라는 표시인가요? >
    탄소나노튜브를 잘 몰라 답이 정확한지는 모르겠으나... SI 단위계의 표기법에서 10의 승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대문자와 소문자를 섞어서 나타내고 있습니다. ... 10: da 102 : h 103 : k 106 : M 109 : G 1012: T ... 라고 표기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106를 표시하는 방법이 틀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마 어떤 저자가 표기를 잘못한 듯 합니다. 만약 대문자로 M을 사용했다면 맞습니다. >탄소 나노튜브의 산화관련 논문에서 산염기 적정을 통해 산화된 관능기의 농도를 표시하는데meg/g으로 농도표시를 해놓았네요. 이게 무슨 단위인가요? > 혹시 그람당 십의육승개 라는 표시인가요?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배영한님의 답변

    문의하신 내용 중 meg/g가 아닌 meq/g라고 하면 말이 되는대요. Colloid 당량치을 의미하는 meq/g라면 관능기상의 양이온이나 역적정에 의해 음이온을 측정하여 그 농도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혹시 논문을 한번 더 확인해보시고 g 인지 q 인지를 보세요. 참고가 되셨기를
    문의하신 내용 중 meg/g가 아닌 meq/g라고 하면 말이 되는대요. Colloid 당량치을 의미하는 meq/g라면 관능기상의 양이온이나 역적정에 의해 음이온을 측정하여 그 농도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혹시 논문을 한번 더 확인해보시고 g 인지 q 인지를 보세요. 참고가 되셨기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한연규님의 답변

    논문에는 meg/g로 표시가 되어있습니다만.. 실험절차가 염기로 이온화 시킨다음에 산으로 적정을 한것으로 봐서 meq/g이 맞는것 같네요... 답변 주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논문에는 meg/g로 표시가 되어있습니다만.. 실험절차가 염기로 이온화 시킨다음에 산으로 적정을 한것으로 봐서 meq/g이 맞는것 같네요... 답변 주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영목님의 답변

    >탄소 나노튜브의 산화관련 논문에서 산염기 적정을 통해 산화된 관능기의 농도를 표시하는데meg/g으로 농도표시를 해놓았네요. 이게 무슨 단위인가요? > 혹시 그람당 십의육승개 라는 표시인가요? 답변) 다른 답변들이 있는데 틀린것 같아 확인드립니다. 농도 표시라고 하셔서 meg/g이 아니라 meq/g이 아닌가 합니다. meq에서 m은 10의 -3승을 의미하고 eq는 Equivalent(당량)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meq/g은 어떤 물질에 대한 당량 표시입니다. 예시를 아래와 같이 드립니다. 예) 염화나트륨 (NaCl)의 분자량은 58.45 g 입니다. 따라서 9 g의 염화나트륨은 9/58.45 = 0.154 당량 (Equivalent) 혹은 154 mEq 입니다
    >탄소 나노튜브의 산화관련 논문에서 산염기 적정을 통해 산화된 관능기의 농도를 표시하는데meg/g으로 농도표시를 해놓았네요. 이게 무슨 단위인가요? > 혹시 그람당 십의육승개 라는 표시인가요? 답변) 다른 답변들이 있는데 틀린것 같아 확인드립니다. 농도 표시라고 하셔서 meg/g이 아니라 meq/g이 아닌가 합니다. meq에서 m은 10의 -3승을 의미하고 eq는 Equivalent(당량)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meq/g은 어떤 물질에 대한 당량 표시입니다. 예시를 아래와 같이 드립니다. 예) 염화나트륨 (NaCl)의 분자량은 58.45 g 입니다. 따라서 9 g의 염화나트륨은 9/58.45 = 0.154 당량 (Equivalent) 혹은 154 mEq 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