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고분자 염색법

유기물을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는 경우 염색법을 이용한다고 들었습니다. 유기물(고분자/저분자)별 staining recipe에 대한 자료를 구할 수 있을까요?
  • TEM
  • monomer
  • polyme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설창님의 답변

    유기물은 전자빔에 약하기 때문에 염색하는 것도 쉽지않습니다. 고분자와 저분자를 구분하여 염색하는 방법은 없을 것입니다. 보통 섬유내 서로 다른 고분자가 이루는 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이때에는 OsO4를 이용하여 염색합니다. 이것은 두 고분자의 OsO4에 대한 친화력차이를 이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이중,3중결합이 많이 들어 있는 고분자에 대해서는 OsO4가 많이 염색된다고 합니다. OsO4는 독극물이며 위험합니다.(이 방법은 합성섬유공장 연구소에 문의하시면 구체적으로 아실수 있을 것입니다.) 보통 문헌에는 결정,무정형영역의 차이를 구분하는 염색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문헌조사를 하면 금방 그 방법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유기물은 전자빔에 약하기 때문에 염색하는 것도 쉽지않습니다. 고분자와 저분자를 구분하여 염색하는 방법은 없을 것입니다. 보통 섬유내 서로 다른 고분자가 이루는 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이때에는 OsO4를 이용하여 염색합니다. 이것은 두 고분자의 OsO4에 대한 친화력차이를 이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이중,3중결합이 많이 들어 있는 고분자에 대해서는 OsO4가 많이 염색된다고 합니다. OsO4는 독극물이며 위험합니다.(이 방법은 합성섬유공장 연구소에 문의하시면 구체적으로 아실수 있을 것입니다.) 보통 문헌에는 결정,무정형영역의 차이를 구분하는 염색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문헌조사를 하면 금방 그 방법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