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1-22
org.kosen.entty.User@7ad28f6a
하종재(sboonger)
- 1
약간은 light 한 성분을 가지고 있지만 주로 C9+ 이상의 유기물을 포함하는 물질의 자연 발화원인을 찾고자하는데요....
각각 물질에 대한 자연발화온도를 알 수 있는 자료들을 찾을 곳은 어디인지...
자연발화의 이론적인 내용에 대한 자료를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지...
도움 부탁드립니다.
- Spontaneous combustion
- auto-ignition temp.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강경태님의 답변
2006-03-13- 0
> 약간은 light 한 성분을 가지고 있지만 주로 C9+ 이상의 유기물을 포함하는 물질의 자연 발화원인을 찾고자하는데요.... >각각 물질에 대한 자연발화온도를 알 수 있는 자료들을 찾을 곳은 어디인지... >자연발화의 이론적인 내용에 대한 자료를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지... >도움 부탁드립니다. 물질별 자연발화 온도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세요. http://www.engineeringtoolbox.com/fuels-ignition-temperatures-d_171.html 자연발화란 물질이 공기중에서 발화 온도보다 훨씬 낮은 온도 (상온에 가까운 온도)에서 자연히 발화하고 그 열이 장시간 축적되어 발화점에 도달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자연 발화를 일으키는 원인에는 물질의 ① 산화열 (불포화성 유지, 금속분말, 석탄) ② 분해열 (질화연, 셀룰로이드) ③ 흡착열 (활성탄) ④ 중합열 (액화 시안화 수소) ⑤ 발화열 (건초) 등이 있다. 자연발화의 조건에는 다음과 같은 인자가 관계한다. ① 열의 축적 : 물질의 양이 크다. 열전도의 물량, 퇴적상태, 공기의 이동이 작다. ② 열의 발생속도 : 초기온도가 높다. 발열량이 크다. ③ 표면적이 크다 ④ 촉매물질의 존재 ⑤ 보존기간 : 물질에 따라 발화하기 쉬운 것과 불안정한 것이 있다. ※ 자연발화하는 조건에는 화학반응, 특히 공기중의 산소와의 반응이나 물질자체의 분해, 기타 발열이 수반하는 것으로 이를테면 화학반응에서의 발열이다. 그러나 어느 종류의 물질은 불과 접촉하기도 하고, 다른 물질끼리의 접촉으로 발열이 상온으로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들의 발열은 비교적 급속해서 「장시간 축적된다, 라고 하는 것은 아니므로 자연발화라 부르지 않고 준 자연 발화라 하여 넓은 의미의 자연발화에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