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2-04
org.kosen.entty.User@68868b2
박상민(psm1038)
- 1
버섯으로 proteoglycan 연구를 하신다고 하셨는데요
많은 도움 주세요
먼저 추출할때 용매는 어떤 것을 쓰셨는지요
다음 컬럼을 하여 분리를 할때 레진은 어떤 레진을 쓰셨고 일루션 하는 용매는 어떤것을 사용하셨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여러 단계로 컬럼을 하셨으면 어떤 순서로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제발 답변 부탁드립니다
다른분들도 아는 분들 계시면 도와주세요
- proteoglycan
- extrac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2006-02-06- 0
실험이 case by case 라는 것은 잘 아시고 계실 것입니다. 그래서 개략적으로 밖에 설명드릴 수 밖에 없습니다. 버섯에서 수용성 proteoglycan를 분리하기 위해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은 열수(95-100도)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다음에 농축된 물층에 에탄올을 더하여 침전물을 형성시킨 후 원심분리로 얻을 수 있습니다. 알카리에 녹는 proteoglycan를 얻는 방법으로는 sodium hydroxide(0.1-1.0M)를 더하여 열수 추출법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열수나 알카리 추출 이전에 환류(reflux) 조건하에서 에탄올로 먼저 추출하거나 뜨거운 dichloromethane이나 methanol로 세척한 사례들도 있었다. 이같은 방법을 이용함으로서 버섯에 존재하는 lipid가 제거되고 proteoglycan의 가수분해를 유도하는 효소도 불활성화시키는 장점도 있습니다. 그 이후에 상황에 따라서 에탄올 침전과 이어진 에탄올, 아세톤 세척 등이 실시할 수도 있습니다. 같은 버섯이라도 이렇게 열수 추출 분획과 알카리 추출 분획은 화학적 조성이 다르며, 추출 용매와 분획법에 따라 생물활성이 다른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컬럼을 이용하는 방법은 이온교환(ion-exchange), 겔 여과(gel filtration), 친화(affinity) 등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분리된 분획을 TLC나 전기영동, MS 등으로 확인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Journal of chormatography B 812(2004) 241-257 Chromatographic and electrophoreric methods for Lingzhi pharmacologically active components를 참조하시면서 이 논문의 reference를 찾아보시면 좋을 것 실험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