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2-20
org.kosen.entty.User@7bc447ea
고윤제(jimop)
- 2
안녕하십니까?
저는 액체필터 관련 실험을 진행중입니다.
그래서 제조한 필터에 5마이크론짜리 폴리스타이렌 입자를
물속에 타서 이 용액을 필터에 통과시켜 이 입자가 얼마만큼
걸러졌는지 시험하고있습니다.
즉 여과되어 나온 액속에 폴리스타이렌 입자가 여과되기전의
용액과 비교하여 몇개정도 줄어들었는지 그 갯수를
알아보려고 합니다만 입자 계수기라는 장비가 있더군요...
일단 그 장비로 5마이크론 짜리 입자의 정확한 갯수를 셀수있는지 알고
싶고 혹시 그 장비를 운용하시거나 운영하는 연구자분을
알고계시면 좀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지금은 현재 그냥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카운팅하고 있습니다만.
눈이 아파서 좀 힘드네요^^;;
그럼 좋은하루 되십시오~
- Particle counte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박훈님의 답변
2006-02-21- 0
SMPS와 DMA를 가지고 해보시면 될 듯합니다. 액체 미디어에 분산후 측정 가능하실 듯합니다. KOSEN21에서 찾은 내용입니다. SMPS(DMPS)란? 입자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입자의 직경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DMPS / SMPS를 들 수 있다. 이 시스템은 크게 DMA(Differential Mobility Analyzer), CNC 그리고 이 두 장비를 통합 조절 및 데이터를 수집하는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DMA는 다분산 입자(Polydisperse Aerosol)를 Kr, Po등과같은 방사능에 노출시켜 전기적으로 중화된 입자를 사용하여 입자 크기별로 분류해내는 장치이다. 논문을 찾다보니 서울대 최만수교수님팀이 전문인듯 싶습니다. 판매업체를 통해 이용자를 알아보시면 될 듯합니다. >안녕하십니까? > >저는 액체필터 관련 실험을 진행중입니다. >그래서 제조한 필터에 5마이크론짜리 폴리스타이렌 입자를 >물속에 타서 이 용액을 필터에 통과시켜 이 입자가 얼마만큼 >걸러졌는지 시험하고있습니다. > >즉 여과되어 나온 액속에 폴리스타이렌 입자가 여과되기전의 >용액과 비교하여 몇개정도 줄어들었는지 그 갯수를 >알아보려고 합니다만 입자 계수기라는 장비가 있더군요... > >일단 그 장비로 5마이크론 짜리 입자의 정확한 갯수를 셀수있는지 알고 >싶고 혹시 그 장비를 운용하시거나 운영하는 연구자분을 >알고계시면 좀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 >지금은 현재 그냥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카운팅하고 있습니다만. >눈이 아파서 좀 힘드네요^^;; > >그럼 좋은하루 되십시오~ -
답변
진병문님의 답변
2006-02-23- 0
>안녕하십니까? > >저는 액체필터 관련 실험을 진행중입니다. >그래서 제조한 필터에 5마이크론짜리 폴리스타이렌 입자를 >물속에 타서 이 용액을 필터에 통과시켜 이 입자가 얼마만큼 >걸러졌는지 시험하고있습니다. > >즉 여과되어 나온 액속에 폴리스타이렌 입자가 여과되기전의 >용액과 비교하여 몇개정도 줄어들었는지 그 갯수를 >알아보려고 합니다만 입자 계수기라는 장비가 있더군요... > >일단 그 장비로 5마이크론 짜리 입자의 정확한 갯수를 셀수있는지 알고 >싶고 혹시 그 장비를 운용하시거나 운영하는 연구자분을 >알고계시면 좀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 >지금은 현재 그냥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카운팅하고 있습니다만. >눈이 아파서 좀 힘드네요^^;; > >그럼 좋은하루 되십시오~ <답변> 첫째, particle counter 관련 : 일반적으로 입자 계수는 입자크기분석장비(particle size analyzer)의 부가 기능으로도 있습니다. 유명한 장비 중 Coulter counter가 있습니다. 이 장비는 분체를 다루는 회사면 대부분 가지고 있습니다. 들째 필터여과성능 판단관련 : 그저 비전문가로서 말씀드리자면 수중 폴리스타이렌의 함량을 반정량적으로 알기위하여 탁도를 측정보는 것이 어떨까요? 이 경우 입자는 색깔을 띄고 있어야 할 것 같네요. 예를 들어 수중 폴리스타이렌 함량당 탁도를 측정하고 탁도 vs 입자농도에 대한 calibration curve를 작성하고 여과후 탁도를 측정하여 입자의 함량을 추정. 또는 여과액을 0.4 마이크로미터 필터로 여과하여 105도 정도에서 충분히 건조 후 필터를 제외한 입자만의 무게를 정량합니다. 초기 투입량 대비 제거율을 이용할 수 있겠죠. 이와 같은 방법도 가능할 것 같군요. 참고바랍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동의대 환경공학과 이강춘교수에게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이메일:glee001@de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