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실험에서 몰농도를 어떻게 계산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저는 대학원과정을 들어온 실험실 초보입니다. 각종 논문들을 보면 몇M이 들어갔다고 나오는데 이를 실제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요. 예를 들면 Cacl2 10mM 을 addition 했다고 논문에는 나왔는데 이것을 실제로 실험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Cacl2의 분자량은 111입니다. 10mM 이란 시약을 처리한 final 농도라고 하던데요. 위의 예처럼 M이 나오면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 예를 들어 식을 써서 쉽게좀 알려주시면 정말 큰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죽는사람 살려주신다 생각하시고 쉽게좀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ㅠㅠ 꼭 도와주세요~~
  • 몰농도
  • 시약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5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저는 대학원과정을 들어온 실험실 초보입니다. >각종 논문들을 보면 몇M이 들어갔다고 나오는데 >이를 실제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요. >예를 들면 Cacl2 10mM 을 addition 했다고 논문에는 나왔는데 >이것을 실제로 실험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Cacl2의 분자량은 111입니다. 10mM 이란 시약을 처리한 final >농도라고 하던데요. >위의 예처럼 M이 나오면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 >예를 들어 식을 써서 쉽게좀 알려주시면 정말 큰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죽는사람 살려주신다 생각하시고 쉽게좀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ㅠㅠ >꼭 도와주세요~~ ------------------------------------------------------------------- 몰농도 계산방법 몰농도 (Molarity : M) 용액 1ℓ에 들어 있는 용질의 몰수를 말하며, M 또는 g-mol/ℓ로 나타낸다. M = (w / Mw) * (1,000 / V) ☞ w : 용질의 무게(g), Mw : 용질의 분자량(g/g-mol), V : 용액의 부피(mℓ) M = (10 * w/w %농도 * ρ) / Mw ☞ Mw : 용질의 분자량(g/g-mol), ρ : 용액의 밀도(g/mℓ)
    >안녕하세요. >저는 대학원과정을 들어온 실험실 초보입니다. >각종 논문들을 보면 몇M이 들어갔다고 나오는데 >이를 실제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요. >예를 들면 Cacl2 10mM 을 addition 했다고 논문에는 나왔는데 >이것을 실제로 실험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Cacl2의 분자량은 111입니다. 10mM 이란 시약을 처리한 final >농도라고 하던데요. >위의 예처럼 M이 나오면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 >예를 들어 식을 써서 쉽게좀 알려주시면 정말 큰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죽는사람 살려주신다 생각하시고 쉽게좀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ㅠㅠ >꼭 도와주세요~~ ------------------------------------------------------------------- 몰농도 계산방법 몰농도 (Molarity : M) 용액 1ℓ에 들어 있는 용질의 몰수를 말하며, M 또는 g-mol/ℓ로 나타낸다. M = (w / Mw) * (1,000 / V) ☞ w : 용질의 무게(g), Mw : 용질의 분자량(g/g-mol), V : 용액의 부피(mℓ) M = (10 * w/w %농도 * ρ) / Mw ☞ Mw : 용질의 분자량(g/g-mol), ρ : 용액의 밀도(g/mℓ)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원래 정의는 조금 복잡하지만...쉽게 설명하여 1L(물이건 다른 용액이건)에 분자량 만큼의 g이 녹으면 1M입니다.. 그렇다면 CaCl2 10mM을 만드신다면... 분자량이 111이니까... 1L에 111g을 녹이면 1M(=1000mM) 1L에 11.1g을 녹이면 0.1M(=100mM) 1L에 1.11g을 녹이면 0.01M(=10mM) 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대학원과정을 들어온 실험실 초보입니다. >각종 논문들을 보면 몇M이 들어갔다고 나오는데 >이를 실제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요. >예를 들면 Cacl2 10mM 을 addition 했다고 논문에는 나왔는데 >이것을 실제로 실험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Cacl2의 분자량은 111입니다. 10mM 이란 시약을 처리한 final >농도라고 하던데요. >위의 예처럼 M이 나오면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 >예를 들어 식을 써서 쉽게좀 알려주시면 정말 큰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죽는사람 살려주신다 생각하시고 쉽게좀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ㅠㅠ >꼭 도와주세요~~
    원래 정의는 조금 복잡하지만...쉽게 설명하여 1L(물이건 다른 용액이건)에 분자량 만큼의 g이 녹으면 1M입니다.. 그렇다면 CaCl2 10mM을 만드신다면... 분자량이 111이니까... 1L에 111g을 녹이면 1M(=1000mM) 1L에 11.1g을 녹이면 0.1M(=100mM) 1L에 1.11g을 녹이면 0.01M(=10mM) 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대학원과정을 들어온 실험실 초보입니다. >각종 논문들을 보면 몇M이 들어갔다고 나오는데 >이를 실제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요. >예를 들면 Cacl2 10mM 을 addition 했다고 논문에는 나왔는데 >이것을 실제로 실험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Cacl2의 분자량은 111입니다. 10mM 이란 시약을 처리한 final >농도라고 하던데요. >위의 예처럼 M이 나오면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 >예를 들어 식을 써서 쉽게좀 알려주시면 정말 큰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죽는사람 살려주신다 생각하시고 쉽게좀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ㅠㅠ >꼭 도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박재홍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저는 대학원과정을 들어온 실험실 초보입니다. >각종 논문들을 보면 몇M이 들어갔다고 나오는데 >이를 실제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요. >예를 들면 Cacl2 10mM 을 addition 했다고 논문에는 나왔는데 >이것을 실제로 실험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Cacl2의 분자량은 111입니다. 10mM 이란 시약을 처리한 final >농도라고 하던데요. >위의 예처럼 M이 나오면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 >예를 들어 식을 써서 쉽게좀 알려주시면 정말 큰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죽는사람 살려주신다 생각하시고 쉽게좀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ㅠㅠ >꼭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대학원과정을 들어온 실험실 초보입니다. >각종 논문들을 보면 몇M이 들어갔다고 나오는데 >이를 실제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요. >예를 들면 Cacl2 10mM 을 addition 했다고 논문에는 나왔는데 >이것을 실제로 실험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Cacl2의 분자량은 111입니다. 10mM 이란 시약을 처리한 final >농도라고 하던데요. >위의 예처럼 M이 나오면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 >예를 들어 식을 써서 쉽게좀 알려주시면 정말 큰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죽는사람 살려주신다 생각하시고 쉽게좀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ㅠㅠ >꼭 도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정철웅님의 답변

    >예를 들면 Cacl2 10mM 을 addition 했다고 논문에는 나왔는데 >이것을 실제로 실험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Cacl2의 분자량은 111입니다. 10mM 이란 시약을 처리한 final >농도라고 하던데요. >위의 예처럼 M이 나오면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 완전 초보이신 것 같아서 한마디 사족을 더 하겠습니다. 먼저 시약은 stock solution 과 working solution이 있습니다. Stock solution은 실험에 있어서 용매에 의한 side effect를 줄이고자 working solution에 100배에서 1000배 더 높은 농도로 만든 다음 working solution의 농도로 희석해서 사용합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경우 1M(111g/1L or 11.1g/100 ml)의 용액을 만드신 다음 100분의 1로 희석해 주어야 합니다. 저도 맨 처음 시약을 만들때 working solution 농도로 바로 만들려는 바보같은 짓을 했던 기억이 나네요. 좋은 결과 얻으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면 Cacl2 10mM 을 addition 했다고 논문에는 나왔는데 >이것을 실제로 실험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Cacl2의 분자량은 111입니다. 10mM 이란 시약을 처리한 final >농도라고 하던데요. >위의 예처럼 M이 나오면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 완전 초보이신 것 같아서 한마디 사족을 더 하겠습니다. 먼저 시약은 stock solution 과 working solution이 있습니다. Stock solution은 실험에 있어서 용매에 의한 side effect를 줄이고자 working solution에 100배에서 1000배 더 높은 농도로 만든 다음 working solution의 농도로 희석해서 사용합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경우 1M(111g/1L or 11.1g/100 ml)의 용액을 만드신 다음 100분의 1로 희석해 주어야 합니다. 저도 맨 처음 시약을 만들때 working solution 농도로 바로 만들려는 바보같은 짓을 했던 기억이 나네요. 좋은 결과 얻으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박재홍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저는 대학원과정을 들어온 실험실 초보입니다. >각종 논문들을 보면 몇M이 들어갔다고 나오는데 >이를 실제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요. >예를 들면 Cacl2 10mM 을 addition 했다고 논문에는 나왔는데 >이것을 실제로 실험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Cacl2의 분자량은 111입니다. 10mM 이란 시약을 처리한 final >농도라고 하던데요. >위의 예처럼 M이 나오면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 >예를 들어 식을 써서 쉽게좀 알려주시면 정말 큰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죽는사람 살려주신다 생각하시고 쉽게좀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ㅠㅠ >꼭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대학원과정을 들어온 실험실 초보입니다. >각종 논문들을 보면 몇M이 들어갔다고 나오는데 >이를 실제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요. >예를 들면 Cacl2 10mM 을 addition 했다고 논문에는 나왔는데 >이것을 실제로 실험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Cacl2의 분자량은 111입니다. 10mM 이란 시약을 처리한 final >농도라고 하던데요. >위의 예처럼 M이 나오면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 >예를 들어 식을 써서 쉽게좀 알려주시면 정말 큰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죽는사람 살려주신다 생각하시고 쉽게좀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ㅠㅠ >꼭 도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