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세포배양공학 질문드려요^^

세포배양공학을 배우고 있는 학생입니다. 아무리 책을 뒤져봐도 내용을 알 수가 없어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2개의 질문이 있는데요.. 1. 일반적으로 세포는 에너지를 얻기 위해 glycolysis와 TCA cycle을 돌리잖아요.. 그런데 책을 보면 culture시 cell들은 TCA cycle은 거의 돌리지 않고 거의 대부분 glycolysis만 한다고 나와 있더라구요.. 왜 그런지 도통 모르겠습니다;; 2. culture용 cell들은 보통 5% CO2 incubator에 넣어 두는데 전 CO2가 pH를 조절하기 위해 필요하다 생각했거든요. 즉, H20 + CO2 <-> H2CO3 <-> H+ + HCO3- 여기에다 PBS(bicarbonate) 넣어주면 평형반응이 왼쪽으로 가잖아요. CO2는 pH를 낮춰 주는건데 5%를 넣는 이유는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넣어주는 건가요? 아님 굳이 5% CO2 incubator에 넣어서 보관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 cell culture techniqu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2번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배지의 buffer capacity에 따라서 요구되는 CO2 농도가 달라집니다.. 때문에 꼭 5%가 필요한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0-10%정도까지 이용됩니다.. 예를 들어서 buffer capacity : HCO3- : gas phase : HEPES low : 4mM : Air : - moderate : 23mM : 5% CO2 : - high : 8mM : 2% CO2 : 20mM
    2번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배지의 buffer capacity에 따라서 요구되는 CO2 농도가 달라집니다.. 때문에 꼭 5%가 필요한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0-10%정도까지 이용됩니다.. 예를 들어서 buffer capacity : HCO3- : gas phase : HEPES low : 4mM : Air : - moderate : 23mM : 5% CO2 : - high : 8mM : 2% CO2 : 20m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