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3-22
org.kosen.entty.User@36c2da1b
오정수(tornado94)
- 1
beta-defensin을 연구하는데요, antimicrobial activity test를 할려고 하는데 논문마다 E.coli균주가 다르더라구요.. 그냥 competent cell로 쓰고 있는 DH5a 사용하면 안되나요? 아니면 특정 E.coli strain을 사용해야만 하나요? 그렇다면 왜 그런거죠? 다 같은 Gram (-) 균주로 알고 있는데...
- antimicrobial activity
- E.coli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2006-03-22- 0
미생물들은 쉽게 돌연변이가 발생하거나 외부 유전자를 받아들이기 때문에 쉽게 항생제 내성을 갖추는 것을 잘 알고 계시겠지요...그렇기 때문에 아무 균이나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항균시험과 같은 경우에는 확실한 기준이 되는 균주가 있어야만 그 균주에 대해서 여러 물질을 본인이 다 시험하지 않더라도 효과를 비교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실험하시는 물질의 녹농균에 대한 MIC 농도가 10nM인데... 기존의 유명 항생제인 반코마이신의 MIC가 20nM이라면 더 효과가 있다고 이야기 할 수 있을 것입니다(물론 반코마이신을 구해서 직접 비교실험을 할수도 있습니다만)... E. coli의 경우 소독효과 검정 및 항균시험에서 기준이 되는 균주가 ATCC 25922입니다... 아마도 웬만한 곳에서 쉽게 구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