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nasal immunization

nasal immunization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쥐의 콧구겅에다가... Ag을 뿌려주는 건지 주사를 놓는건지... 잘모르겠습니다.. 가르쳐주세요~
  • nasal immuniz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꼭 백신이 아니더라도 다른 약물들의 투여에 비강(nasal) 투여가 많이 이용됩니다.. 구체적으로는 비강 점막을 통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 경구 투여의 단점인 간 초회통과 (hepatic first pass)와 위장관 단백효소 분해를 피할 수 있으며 풍부한 혈관분포에 따른 흡수 등의 장점을 갖게 됩다. 비강은 비교적 약물 적용이 쉽고 주사제형을 대체하는 투여경로로 활용되 고 있습니다. 그러나 비강점막은 분자량에 따라 생체이용율에 급격한 차이가 있으며 비강막에도 프로테아제 (protease), 펩티다아제 (peptidase)가 존재하고 있어 약물 전달에 장애물 (barrier)로 작용합니다. 또한 장기간 투여 경로로 이용 시 감염에 의한 염증, 알러지를 유발 할 수 있으며 투여 용량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단점도 있습니다. 비강 투여 약품의 대표적인 예가 최근에 승인을 받은 흡입형 스프레이 인슐린제인 액주베라입니다... >nasal immunization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쥐의 콧구겅에다가... Ag을 뿌려주는 건지 주사를 놓는건지... 잘모르겠습니다.. >가르쳐주세요~
    꼭 백신이 아니더라도 다른 약물들의 투여에 비강(nasal) 투여가 많이 이용됩니다.. 구체적으로는 비강 점막을 통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 경구 투여의 단점인 간 초회통과 (hepatic first pass)와 위장관 단백효소 분해를 피할 수 있으며 풍부한 혈관분포에 따른 흡수 등의 장점을 갖게 됩다. 비강은 비교적 약물 적용이 쉽고 주사제형을 대체하는 투여경로로 활용되 고 있습니다. 그러나 비강점막은 분자량에 따라 생체이용율에 급격한 차이가 있으며 비강막에도 프로테아제 (protease), 펩티다아제 (peptidase)가 존재하고 있어 약물 전달에 장애물 (barrier)로 작용합니다. 또한 장기간 투여 경로로 이용 시 감염에 의한 염증, 알러지를 유발 할 수 있으며 투여 용량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단점도 있습니다. 비강 투여 약품의 대표적인 예가 최근에 승인을 받은 흡입형 스프레이 인슐린제인 액주베라입니다... >nasal immunization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쥐의 콧구겅에다가... Ag을 뿌려주는 건지 주사를 놓는건지... 잘모르겠습니다.. >가르쳐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동현님의 답변

    마우스를 마취한 후 기도가 지면과 수직이 될 수 있도록 잡으신 후 10~20ul 피펫으로 천천히 넣어주시면 됩니다. 보통 50ul 정도까지 가능합니다. >nasal immunization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쥐의 콧구겅에다가... Ag을 뿌려주는 건지 주사를 놓는건지... 잘모르겠습니다.. >가르쳐주세요~
    마우스를 마취한 후 기도가 지면과 수직이 될 수 있도록 잡으신 후 10~20ul 피펫으로 천천히 넣어주시면 됩니다. 보통 50ul 정도까지 가능합니다. >nasal immunization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쥐의 콧구겅에다가... Ag을 뿌려주는 건지 주사를 놓는건지... 잘모르겠습니다.. >가르쳐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