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Cold Shock Promoter cspA

단백질 발현시에 soluble한 product를 얻기위해 온도를 낮추어 expression 시키는 방법으로 Cold Shock Promoter cspA를 사용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Cold Shock Promoter cspA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또한 Cold Shock Promoter cspA이 T7 promoter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워낙 이론적인 개념이 없는지라 차근차근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Cold Shock Promoter cspA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있는 자료도 좋습니다. 자세한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 Cold Shock Promoter csp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pCold DNA는 cold shock 단백질을 코드하는 cspA 유전자를 기본으로 구축되어 있으며 cspA promoter, 5‘ UTR, cspA 단백질의 N 말단을 코드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cspA promoter에서의 transcription는 37 ℃에서도 이루어지지만 그 하류인 5'UTR이 37 ℃에서는 상당히 불안정하므로 효율적인 translation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온도를 37 ℃에서 15 ℃로 내리면 5’UTR의 구조가 상당히 안정되어, 그 결과translation 효율이 상승하여 저온(15 ℃)에서 고효율로 단백질의 합성이 이루어진다1). 그리고 transcription에 의해 cspA 단백질의 N 말단 일부를 코드하는 mRNA가 생성하면 그 mRNA의 translation에 ribosome이 우선적으로 사용되며, 다른 mRNA의 translation에는 ribosome이 그다지 공급되지 않게 된다(Ribosome trap 현상)2). 이와 같이 pCold DNA는 저온에서도 transcription 활성이 떨어지지 않는 cspA promoter와 5‘ UTR의 저온에서의 구조 안정성 및 ribosome trap 현상으로 저온에서 고효율로 단백질 발현을 할 수 있다. 저온에서의 단백질 발현은 기존부터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pCold DNA는 지금까지의 발현 vector에 없는 특징을 지닌 저온에서의 단백질 발현에 적합한 독특한 발현 vector이다. 관련 문헌 1) Mitta, M., et al.(1997) Mol. Microbiol., 26, 321-335. 2) Xia, B., et al.(2001) J. Biol. Chem., 276, 35581-35588. >단백질 발현시에 soluble한 product를 얻기위해 온도를 낮추어 expression 시키는 방법으로 > >Cold Shock Promoter cspA를 사용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 >Cold Shock Promoter cspA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 >또한 Cold Shock Promoter cspA이 T7 promoter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 >워낙 이론적인 개념이 없는지라 차근차근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 >Cold Shock Promoter cspA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있는 자료도 좋습니다. > >자세한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pCold DNA는 cold shock 단백질을 코드하는 cspA 유전자를 기본으로 구축되어 있으며 cspA promoter, 5‘ UTR, cspA 단백질의 N 말단을 코드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cspA promoter에서의 transcription는 37 ℃에서도 이루어지지만 그 하류인 5'UTR이 37 ℃에서는 상당히 불안정하므로 효율적인 translation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온도를 37 ℃에서 15 ℃로 내리면 5’UTR의 구조가 상당히 안정되어, 그 결과translation 효율이 상승하여 저온(15 ℃)에서 고효율로 단백질의 합성이 이루어진다1). 그리고 transcription에 의해 cspA 단백질의 N 말단 일부를 코드하는 mRNA가 생성하면 그 mRNA의 translation에 ribosome이 우선적으로 사용되며, 다른 mRNA의 translation에는 ribosome이 그다지 공급되지 않게 된다(Ribosome trap 현상)2). 이와 같이 pCold DNA는 저온에서도 transcription 활성이 떨어지지 않는 cspA promoter와 5‘ UTR의 저온에서의 구조 안정성 및 ribosome trap 현상으로 저온에서 고효율로 단백질 발현을 할 수 있다. 저온에서의 단백질 발현은 기존부터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pCold DNA는 지금까지의 발현 vector에 없는 특징을 지닌 저온에서의 단백질 발현에 적합한 독특한 발현 vector이다. 관련 문헌 1) Mitta, M., et al.(1997) Mol. Microbiol., 26, 321-335. 2) Xia, B., et al.(2001) J. Biol. Chem., 276, 35581-35588. >단백질 발현시에 soluble한 product를 얻기위해 온도를 낮추어 expression 시키는 방법으로 > >Cold Shock Promoter cspA를 사용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 >Cold Shock Promoter cspA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 >또한 Cold Shock Promoter cspA이 T7 promoter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 >워낙 이론적인 개념이 없는지라 차근차근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 >Cold Shock Promoter cspA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있는 자료도 좋습니다. > >자세한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