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2006-03-29- 0
펩타이드백신은 바이러스의 항원부분만을 정제하여 만든 것으로 백신 자체에 의한 질병발생률은 없다고 볼 수 있으며, 부작용률이 제일 낮은 편입니다. 그러나 항원부분만을 제조·정제하였기 때문에 체내에서 이에 대한 면역반응률이 낮아 면역력 생성능력이 약한 것이 단점이 있습니다. DNA 백신으로 기존의 백신들이 병균을 죽이거나 독성을 약화시킨 것과 달리 병균의 DNA(또는 그 일부)를 백신으로 이용하는 것입니이다. DNA 백신은 기존 백신보다 안전성에서 우수하면서 효과는 높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지만 앞으로 상용화까지 시간이 들것으로 생각됩니다.. DNA 백신에 대해서는 포항공대 성영철 교수님의 글을 첨부합니다.. -
답변
김동현님의 답변
2006-03-30- 0
>부탁드립니다. 예방 또는 치료 백신으로 최근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DNA 백신 (DNA vaccine, nucleic acid vaccine, naked plasmid DNA vaccine)입니다. DNA 백신은 표적 항원의 유전자를 DNA plasmid vector에 삽입하여 체내에서 항원을 발현하게 함으로써 면역화에 응용하려는 전략으로 항원에 특이적인 세포 독성 T 림프구 (CTL)와 항체 (antibody)를 동시에 유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포 매개 면역 반응을 필요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이나 암의 예방과 치료에 활용하려는 노력이 계속 되고 있습니다. DNA 백신에 이용되는 DNA plasmid vector는 기본적으로 표적항원을 세포 내에서 단백질로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vector sequence내에 면역 반응을 유도를 위한 adjuvant 작용을 하는 CpG motif 를 가지고 있습니다 (Donnelly, et단백질로 발현되고 heat shock protein chaperone 등에 의해 수상 al., 1997). 이 DNA plasmid를 근육주사하였을 때 나타나는 면역 반응의 메커니즘은 DNA plasmid가 도입된 세포에서 일단 항원이 세포 (dendritic cell)와 같은 항원 제시 세포 (APC)에 전달되어, T-cell 이나 B-cell 에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Kumaraguru et al., 2000). 펩타이드 백신이나 사균 백신은 항체 생성을 촉진시키나 CTL 반응을 유도하지 못하고, 생균 약독화 백신 (live attenuated vaccine)은 CTL 반응을 유도할 수는 있으나 안전성이 우려됩니다. 따라서 DNA 백신은 항체 반응과 CTL 반응을 동시에 유도할 수 있는 현재까지 개발된 가장 안전한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Donnelly et al.,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