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3T3-L1 cell CO2 농도 질문입니다.

3T3-L1cell을 키우는 사람입니다. 세포를 ATCC에서 구입하였는데 ATCC에서는 37도에서 CO2 5%에서 키우라고 되어 있더군 요. 근데 제가 본 논문들은 모두 10%에서 키운다고 되었있더구요. 제가 glucose uptake 실험을 할 건데 이것이 영향을 많이 미치나요? 어떤것이 정확한지 알고 싶습니다. 고수님들의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3T3-L1
  • CO2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ATCC나 국내 세포주 은행의 경우에도...가능하면 자신들이 설정한 편리한 조건에서 키우서 스탁을 만든 후에 사람들에게 공급하기 때문에 대부분 5% CO2에서 배양이 이루어집니다.만약 이 조건에서 배양이 잘 되지 않으면 그 때가서 다른 조건을 찾게 되는 것입니다.. 더하여 다른 조건에서 하려면 다른 배지나 여러 CO2 농도나 온도 등이 설정된 배양기 등이 더 필요하고 사람들도 신경을 더 써야하기 때문에 시간이나 금액 등이 더 필요하기 때문에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반면에 논문에서는 실제 실험하신 분들이 자신들의 실험 경험에서 10%의 CO2 조건에서 잘 자라거나 분화가 잘되는 것을 확인했기 때문에 glucose uptake가 잘 되었기 때문에 그 조건을 잡은 것입니다.. 그러니까 10%를 따르셔야 하겠지요.. >3T3-L1cell을 키우는 사람입니다. > >세포를 ATCC에서 구입하였는데 ATCC에서는 37도에서 CO2 5%에서 키우라고 되어 있더군 > >요. 근데 제가 본 논문들은 모두 10%에서 키운다고 되었있더구요. > >제가 glucose uptake 실험을 할 건데 이것이 영향을 많이 미치나요? > >어떤것이 정확한지 알고 싶습니다. > >고수님들의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ATCC나 국내 세포주 은행의 경우에도...가능하면 자신들이 설정한 편리한 조건에서 키우서 스탁을 만든 후에 사람들에게 공급하기 때문에 대부분 5% CO2에서 배양이 이루어집니다.만약 이 조건에서 배양이 잘 되지 않으면 그 때가서 다른 조건을 찾게 되는 것입니다.. 더하여 다른 조건에서 하려면 다른 배지나 여러 CO2 농도나 온도 등이 설정된 배양기 등이 더 필요하고 사람들도 신경을 더 써야하기 때문에 시간이나 금액 등이 더 필요하기 때문에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반면에 논문에서는 실제 실험하신 분들이 자신들의 실험 경험에서 10%의 CO2 조건에서 잘 자라거나 분화가 잘되는 것을 확인했기 때문에 glucose uptake가 잘 되었기 때문에 그 조건을 잡은 것입니다.. 그러니까 10%를 따르셔야 하겠지요.. >3T3-L1cell을 키우는 사람입니다. > >세포를 ATCC에서 구입하였는데 ATCC에서는 37도에서 CO2 5%에서 키우라고 되어 있더군 > >요. 근데 제가 본 논문들은 모두 10%에서 키운다고 되었있더구요. > >제가 glucose uptake 실험을 할 건데 이것이 영향을 많이 미치나요? > >어떤것이 정확한지 알고 싶습니다. > >고수님들의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정철웅님의 답변

    그냥 키우는 것은 ATCC에서 권장하는 것에서 키우는 것이 맞다고 생각됩니다. 특히 스탁으로 받은 것은 원래 키우던 조건에서 키우는 것이 맞습니다. 단, 윗 분 말씀처럼 여러가지 실험을 위한 것이라면 10%로 adaptation시켜서 하는 것이 논문의 실험을 반복 또는 응용하는 올바른 방버이겠지요. 하지만 세포를 받은 후 스탁을 만들때까지는 ATCC에서 알려준 방법대로 해야만 합니다. 그래야 나중에 문제 생기면 클레임 할 수 있습니다.
    그냥 키우는 것은 ATCC에서 권장하는 것에서 키우는 것이 맞다고 생각됩니다. 특히 스탁으로 받은 것은 원래 키우던 조건에서 키우는 것이 맞습니다. 단, 윗 분 말씀처럼 여러가지 실험을 위한 것이라면 10%로 adaptation시켜서 하는 것이 논문의 실험을 반복 또는 응용하는 올바른 방버이겠지요. 하지만 세포를 받은 후 스탁을 만들때까지는 ATCC에서 알려준 방법대로 해야만 합니다. 그래야 나중에 문제 생기면 클레임 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