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BLU 의 휘도 관련...

LCD 관련된 연구개발을 하다가 Back light unit 관련하여 의문사항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Backlight Unit의 휘도를 측정해 보았는데요, 휘도차이가 1% 정도 난다고 하면 이게 어느정도의 의미를 갖는건가요? 가령 6400 nit 와 6300 nit 의 BLU 가 각각 있다면, 이정도의 차이가 무시할 만한 것인지, 아니면 LCD BLU 에서는 아주 중요한 차이가 되는 것인지.. 제가 아직 감이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 휘도
  • BLU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LCD 관련된 연구개발을 하다가 Back light unit 관련하여 의문사항이 생겨 > >질문드립니다... > >Backlight Unit의 휘도를 측정해 보았는데요, > >휘도차이가 1% 정도 난다고 하면 이게 어느정도의 의미를 갖는건가요? > >가령 6400 nit 와 6300 nit 의 BLU 가 각각 있다면, 이정도의 차이가 무시할 > >만한 것인지, 아니면 LCD BLU 에서는 아주 중요한 차이가 되는 것인지.. > >제가 아직 감이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 >답변 부탁드립니다. BLU 휘도 개선을 위해 여러가지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데, 광원을 CCFL에서 LED로 변경한다든지 반사시트를 UP-GRADE 한다든지 여러 방법을 개발하고 있는데, 이는 휘도를 1~2% 정도 높이는 미세한 부분이라도 소비자가 화면을 보는 느낌은 그 2~3배 가량 된다고 합니다. 실제적으로 BLU에서는 무시할 정도라도 소비자가 LCD화면을 볼때는 품위는 상당히 틀리다고 하네요..디스플레이 전문가들 의견 그러나, 일반 소비자는 크게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겠죠. 저도 노트북을 사용하는데, 화면 밝기를 한단계 낮게 셋팅해서 사용합 니다. 노트북 BLU휘도가 많이 성은 향상이 된거 같네요... 한편으로 4~5년 전에 구입한 노트북은 너무 흐려서 사용하기가 어려운데 점점 휘도가 떨어지는 거 같네요.. 당장 사용하는데 휘도 1~2%는 무시해도 되지만 장기적으로 사용할 때는 1~2%도 무시할 수 있는 변수는 아닌거 같습니다.
    >LCD 관련된 연구개발을 하다가 Back light unit 관련하여 의문사항이 생겨 > >질문드립니다... > >Backlight Unit의 휘도를 측정해 보았는데요, > >휘도차이가 1% 정도 난다고 하면 이게 어느정도의 의미를 갖는건가요? > >가령 6400 nit 와 6300 nit 의 BLU 가 각각 있다면, 이정도의 차이가 무시할 > >만한 것인지, 아니면 LCD BLU 에서는 아주 중요한 차이가 되는 것인지.. > >제가 아직 감이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 >답변 부탁드립니다. BLU 휘도 개선을 위해 여러가지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데, 광원을 CCFL에서 LED로 변경한다든지 반사시트를 UP-GRADE 한다든지 여러 방법을 개발하고 있는데, 이는 휘도를 1~2% 정도 높이는 미세한 부분이라도 소비자가 화면을 보는 느낌은 그 2~3배 가량 된다고 합니다. 실제적으로 BLU에서는 무시할 정도라도 소비자가 LCD화면을 볼때는 품위는 상당히 틀리다고 하네요..디스플레이 전문가들 의견 그러나, 일반 소비자는 크게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겠죠. 저도 노트북을 사용하는데, 화면 밝기를 한단계 낮게 셋팅해서 사용합 니다. 노트북 BLU휘도가 많이 성은 향상이 된거 같네요... 한편으로 4~5년 전에 구입한 노트북은 너무 흐려서 사용하기가 어려운데 점점 휘도가 떨어지는 거 같네요.. 당장 사용하는데 휘도 1~2%는 무시해도 되지만 장기적으로 사용할 때는 1~2%도 무시할 수 있는 변수는 아닌거 같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최원희님의 답변

    >Backlight Unit의 휘도를 측정해 보았는데요, >휘도차이가 1% 정도 난다고 하면 이게 어느정도의 의미를 갖는건가요? >가령 6400 nit 와 6300 nit 의 BLU 가 각각 있다면, 이정도의 차이가 무시할 만한 것인지, 아니면 LCD BLU 에서는 아주 중요한 차이가 되는 것인지.. =============== 일반적으로 LCD에서 기존에 사용해 오던 CCFL 방식으로는 600nit 이하 정도겠죠. 그치만 휘도값을 봤을때 질문자께서는 LED BLU에 대해 연구하시는 듯 합니다. 두 경우는 매우 다릅니다. CCFL의 경우에는 LED와 같은 고 확산의 특수 필터 없이 면광원 등을 이용하기도 하므로 LCD로 표현되는 휘도는 그래도 대체로 균일합니다. (물론 CCFL도 확산판은 있습니다만.. 성격이 다릅니다.) LED의 경우는 점광원이므로 하나는 6400nit인데.. 그 옆에껀.. 6300nit라면.. 확산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대형화면에서 LCD의 가령 60 인치에.. 흰색 화면을 띄워 놓는다면 얼룩덜룩 해 보이겠죠. 결론 적으로 말씀드리자면.. LED nit 편차가 커질수록 확산판(?)의 성능은 더욱 중요하게 됩니다. 답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Backlight Unit의 휘도를 측정해 보았는데요, >휘도차이가 1% 정도 난다고 하면 이게 어느정도의 의미를 갖는건가요? >가령 6400 nit 와 6300 nit 의 BLU 가 각각 있다면, 이정도의 차이가 무시할 만한 것인지, 아니면 LCD BLU 에서는 아주 중요한 차이가 되는 것인지.. =============== 일반적으로 LCD에서 기존에 사용해 오던 CCFL 방식으로는 600nit 이하 정도겠죠. 그치만 휘도값을 봤을때 질문자께서는 LED BLU에 대해 연구하시는 듯 합니다. 두 경우는 매우 다릅니다. CCFL의 경우에는 LED와 같은 고 확산의 특수 필터 없이 면광원 등을 이용하기도 하므로 LCD로 표현되는 휘도는 그래도 대체로 균일합니다. (물론 CCFL도 확산판은 있습니다만.. 성격이 다릅니다.) LED의 경우는 점광원이므로 하나는 6400nit인데.. 그 옆에껀.. 6300nit라면.. 확산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대형화면에서 LCD의 가령 60 인치에.. 흰색 화면을 띄워 놓는다면 얼룩덜룩 해 보이겠죠. 결론 적으로 말씀드리자면.. LED nit 편차가 커질수록 확산판(?)의 성능은 더욱 중요하게 됩니다. 답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