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Rac assay시...

Rac assay시 normalization을 위해 total cell lysate에서 total Rac을 western을 통해 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drug 처리나 시간 별로, activated Rac의 양적인 변화를 볼 때 total Rac의 양에는 변화가 없다는 것, 즉 normalization을 위한 것이죠. 근데, 문제는 제가 하는 실험에서 각 샘플의 total cell lysate별로 total Rac의 양이 다르게 나온다는 것입니다. 단백질 정량의 문제인가 싶어 여러번 꼼꼼히 정량해 보았지만 계속 차이가 났습니다. 그래서 normalization의 다른 방법으로 a-tubulin을 각 샘플의 total cell lysate에서 western으로 확인했습니다. 그랬더니 정량은 잘 되었다는 것을 확인했지만 (a-tubulin의 양은 각 샘플별로 차이가 없었습니다) total Rac의 양은 여전히 차이가 났습니다. 고수님들, Rac assay시 normailzation을 위한 저의 방법에 문제가 있습니까? 여러 논문들을 찾아봐도 샘플마다 total Rac의 양은 항상 일정하더군요. 그렇게 맞추는 건지 아니면 저의 실험 방법에 문제가 있는 건지 이도저도 아니면 제 실험에서만 그럴까요? 조언부탁드립니다.
  • Rac
  • normailzation
  • .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정철웅님의 답변

    님의 실험 조건이 Rac의 발현을 조절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real time pcr과 western blot을 통해서 토탈에서 변화를 모니터링 해보시죠 노말라이즈가 어쩔땐 데이터의 왜곡이 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변화된 rac의 양에 비례한 activity 값을 산출하는 방법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님의 실험 조건이 Rac의 발현을 조절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real time pcr과 western blot을 통해서 토탈에서 변화를 모니터링 해보시죠 노말라이즈가 어쩔땐 데이터의 왜곡이 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변화된 rac의 양에 비례한 activity 값을 산출하는 방법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