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5-18
org.kosen.entty.User@61ef679e
정종국(zzang036)
- 2
대기중에 열처리시 투명전극(ZnO:Al)의 경우 표면 산화로 전도성이 급격히 증가 합니다. 표면 산화로 인한 결정립계에 산소흡착으로 생각되어집니다. XPS 분석을 통한 성분비 분석에 있어서는 Zn양이 증가한 반면 O양의 경우 감소를 보였습니다.
글라스 표면 또한 과잉 Zn에 의한 이유인지 노란색을 띠는데, 어떤 이유 때문이지 도움 부탁드립니다.
또한 현제 XPS 산화에 따른 Zn2p3의 경우 결합에너지 감소하는 이유가 산화에 의한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 ZnO
- XPS
- 산화반응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장지호님의 답변
2006-05-18- 0
> 대기중에 열처리시 투명전극(ZnO:Al)의 경우 표면 산화로 전도성이 급격히 증가 합니다. 표면 산화로 인한 결정립계에 산소흡착으로 생각되어집니다. XPS 분석을 통한 성분비 분석에 있어서는 Zn양이 증가한 반면 O양의 경우 감소를 보였습니다. > > 표면 산화가 아니라 표면에서 산소의 탈착이 일어납니다. 그 정도는 열처리 온도에 따라서 증가합니다. 따라서 표면의 성분 분석을 하면 Zn/O 비의 증가가 일어나게 됩니다. > >글라스 표면 또한 과잉 Zn에 의한 이유인지 노란색을 띠는데, 어떤 이유 때문이지 도움 부탁드립니다. > ZnO 에서 산소결핍형 결합은 Yellow 밴드라고 하는 2.4~2.5 eV 의 에너지를 갖습니다. 따라서 결함이 없는 결정과 비교할때 노란색을 띄게 됩니다. >또한 현제 XPS 산화에 따른 Zn2p3의 경우 결합에너지 감소하는 이유가 산화에 의한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 >답변 부탁드립니다. >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6-05-29- 0
유첨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