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실험약물(AG 490)의 in vivo 투여 지침이 따로 있습니까?

쥐로 당뇨 모델 실험을 하는 중입니다. 1차 실험결과는 잘 나온 편이어서 tyrosine kinase inhibitor 인 AG 490 이라는 약물을 실험동물의 안구 내로 투여하고 싶은데 다른 논문을 찾아보니 모두 cell line level 에서만 이 약물을 사용하였습니다. 실험동물 생체내로 이 약물을 직접 투여해본 적이 없는 거 같은데 해볼려면 사전에 독성이라든지 어떤 사전 실험을 해봐야 하는지, 아니면 그냥 투여해 봐도 되는지 궁급합니다. 이런 경우 어던 guide line 같은 것이 있는지요? 약품의 설명서에도 이에 대한 뚜렷한 정보가 별로 없습니다.
  • AG 490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홍동호님의 답변

    >쥐로 당뇨 모델 실험을 하는 중입니다. > >1차 실험결과는 잘 나온 편이어서 > >tyrosine kinase inhibitor 인 AG 490 이라는 약물을 > >실험동물의 안구 내로 투여하고 싶은데 > >다른 논문을 찾아보니 모두 cell line level 에서만 이 약물을 사용하였습니다. > >실험동물 생체내로 이 약물을 직접 투여해본 적이 없는 거 같은데 > >해볼려면 사전에 독성이라든지 어떤 사전 실험을 해봐야 하는지, 아니면 > >그냥 투여해 봐도 되는지 궁급합니다. > >이런 경우 어던 guide line 같은 것이 있는지요? > >약품의 설명서에도 이에 대한 뚜렷한 정보가 별로 없습니다. 원하시는 것과 일치하는 지는 모르지만 동물실험한 논문을 참고로 올립니다.
    >쥐로 당뇨 모델 실험을 하는 중입니다. > >1차 실험결과는 잘 나온 편이어서 > >tyrosine kinase inhibitor 인 AG 490 이라는 약물을 > >실험동물의 안구 내로 투여하고 싶은데 > >다른 논문을 찾아보니 모두 cell line level 에서만 이 약물을 사용하였습니다. > >실험동물 생체내로 이 약물을 직접 투여해본 적이 없는 거 같은데 > >해볼려면 사전에 독성이라든지 어떤 사전 실험을 해봐야 하는지, 아니면 > >그냥 투여해 봐도 되는지 궁급합니다. > >이런 경우 어던 guide line 같은 것이 있는지요? > >약품의 설명서에도 이에 대한 뚜렷한 정보가 별로 없습니다. 원하시는 것과 일치하는 지는 모르지만 동물실험한 논문을 참고로 올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