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라이브러리 구축관련 최신동향에 대한 정보를 구합니다.

많은 회사들이 자체 화합물 라이브러리 구축를 구축하던지 아니면 사서 구축을 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라이브러리 구축의 최신 동향에 대한 정보를 구합니다.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 librar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종석님의 답변

    지난해 12월 하와이에서 개최된 태평양 연안국가들의 화학회 모임인 Pacifichem이라는 학회에 참석해서 본 내용을 간단하게 말씀 드릴까 합니다.. 화합물 라이브러리에 대해 두개 정도의 세션을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중 한 세션은 한국연사들로만 구성된것도 있었습니다.. 외국으로는 일본을 비롯한 스위스 불가리아등에서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실제 제약회사들에게 그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합물을 제공하였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Syngenta, MDL, NCGC, NCI등이 소개되었던것 같습니다.. 라이브러리와 관련된 내용은 회사 기밀에 속해서 외부로 정보공개를 꺼리고 화합물을 확보하기가 굉장히 어려운것같습니다.. 물론 이외에도 여러국가에서 라이르러리를 구축하고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국내에는 한국화학연구원의 화합물은행(http://www.chembank.or.kr/),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미생물 소재은행(www.microbank.re.kr), 연세대 분자설계 연구소(http://www.bmdrc.org/kor/) 분자설계 연구소와 공동연구가 많이 진행되고있는 벤처인 이큐스팜(http://www.equispharm.com/equis/)등이 있습니다.. 분자설계 연구소의 경우 라이브러리구축만 하는것이 아니라 응용부분과 소프트웨어개발 부분에 매우 강력한 경쟁력을 갖고있는것 같아보입니다. 미생물 소재은행의 경우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실제 분양하고있으며,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스팩트럼 라이브러가 구축되어있습니다. >많은 회사들이 자체 화합물 라이브러리 구축를 구축하던지 아니면 사서 구축을 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라이브러리 구축의 최신 동향에 대한 정보를 구합니다.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지난해 12월 하와이에서 개최된 태평양 연안국가들의 화학회 모임인 Pacifichem이라는 학회에 참석해서 본 내용을 간단하게 말씀 드릴까 합니다.. 화합물 라이브러리에 대해 두개 정도의 세션을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중 한 세션은 한국연사들로만 구성된것도 있었습니다.. 외국으로는 일본을 비롯한 스위스 불가리아등에서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실제 제약회사들에게 그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합물을 제공하였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Syngenta, MDL, NCGC, NCI등이 소개되었던것 같습니다.. 라이브러리와 관련된 내용은 회사 기밀에 속해서 외부로 정보공개를 꺼리고 화합물을 확보하기가 굉장히 어려운것같습니다.. 물론 이외에도 여러국가에서 라이르러리를 구축하고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국내에는 한국화학연구원의 화합물은행(http://www.chembank.or.kr/),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미생물 소재은행(www.microbank.re.kr), 연세대 분자설계 연구소(http://www.bmdrc.org/kor/) 분자설계 연구소와 공동연구가 많이 진행되고있는 벤처인 이큐스팜(http://www.equispharm.com/equis/)등이 있습니다.. 분자설계 연구소의 경우 라이브러리구축만 하는것이 아니라 응용부분과 소프트웨어개발 부분에 매우 강력한 경쟁력을 갖고있는것 같아보입니다. 미생물 소재은행의 경우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실제 분양하고있으며,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스팩트럼 라이브러가 구축되어있습니다. >많은 회사들이 자체 화합물 라이브러리 구축를 구축하던지 아니면 사서 구축을 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라이브러리 구축의 최신 동향에 대한 정보를 구합니다.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