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5-31
org.kosen.entty.User@568f3040
박수희(soda1984)
- 1
peripheral blood lymphocyte 에 7d동안 tetanus toxin처리한 상태와 그렇지 않은 상태 각각으로 나누어서 자가조직의 serum을 방사능처리가된 자가조직의 대식세포와 함께 배양을 한 실험입니다. 이 실험에서,,,tetanus toxin을 왜처리 한건지...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24시간 동안 배양을 한 다음에 더해진 3H(thymidine)편입된 양을 알수 있다.. 이렇게 해석을 했는데
도통....
- tetanus toxin
- t cell
- CXCR5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정철웅님의 답변
2006-05-31- 0
>peripheral blood lymphocyte 에 7d동안 tetanus toxin처리한 상태와 그렇지 않은 상태 각각으로 나누어서 자가조직의 serum을 방사능처리가된 자가조직의 대식세포와 함께 배양을 한 실험입니다. 이 실험에서,,,tetanus toxin을 왜처리 한건지...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24시간 동안 배양을 한 다음에 더해진 3H(thymidine)편입된 양을 알수 있다.. 이렇게 해석을 했는데 >도통.... 제가 아는한 분석을 해보면.... 먼저 tetanus toxin은 신경세포 특이적인 독소입니다. 따라서 신경세포에 특이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신경세포를 이용한 실험에 주로 사용합니다. Hc-fragment를 이용해서 신경세포로 targeting하는 것에 이용하기도 합니다. 한편 위와 같은 경우는 Fragment C of tetanus toxin (TTC)을 antigen으로 사용하여 실험한 것 같습니다. 즉 항원을 주고 면역세포가 반응하는 것을 여러 실험 조건에서 관찰한 것 같습니다. 3H(thymidine)이 incoporation 되었다는 것은 새로이 DNA가 합성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즉 세포 증식을 측정하는 방법이죠. 언급하시지 않은 다른 논문 내용과 합쳐 보시면 이제 대충 감이 오십니까? 간략히 다시 말하면 tetanus toxin을 항원(antigen)으로 대체해서 보시면 그 논문읽기가 수월하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