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HepG2 배양 및 hepatotoxicity

안녕하세요.. 1. HepG2가 nomal한 human liver cell인가요..아님 암세포주인가요.. 어떤데는 암세포라고 설명되어 있어서.. 2. HepG2 동결주 분양받아서 실험하는데..해동에서 배양까지...자세한 protocol있으신분..... 3. 혹시..hepG2 사용해서..ethanol이나 CCl4 stress에 대한 hepatoprotective 활성을 측정해보신 분 있남요..있으면 방법좀 갈쳐주셈..^^아님 관련논문이라도... 아시면....부탁....^^ 아시는 분 있음..꼭......간단한 답변이라도 대 환영..^^합니다.. 그럼 모두덜 수고하세용..~~
  • HepG2
  • ethanol
  • hepatoprotectiv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1. HepG2는 hepatoma 즉 사람 간암 세포주입니다. 2. HepG2만의 특별한 프로토콜은 없는데요..다른 세포주 배양과 거의 유사합니다..원배지는 Medium 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 90%; heat 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 (FBS), 10%입니다만..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90%; heat 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 (FBS) 10%에서도 잘 자랍니다.. 배양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동결세포주 배양법 앰플을 드라이아이스 용기에서 꺼낸후 37-40℃의 수조에 넣는다 40-60초 동안 신속하게 녹인다. 얼음이 녹자마자 수조에서 앰플을 꺼낸 후 상온의 70%알콜속에 넣어 소독한다. 이 순간부터 무균작업대에서 작업을 실시한다. 다시 알콜솜으로 앰플을 재소독한다. 알콜솜이나 여러겹의 소독된 타올 사이에 앰플을 넣은 후 황금색의 띠가 둘러진 앰플의 목부위를 부러뜨린다. DMSO(dimethylsulfoxide)를 제거하기 위하여 15ml 튜브에 키우고자하는 배양액(10% FBS가 첨가된 RPMI1640 혹은 DMEM)을 10ml 정도 넣은 다음 앰플속의 세포부유액(1-1.5ml)을 옮긴다. 1,000 rpm(200-400g)에서 3분간 원심분리한다. 상층액을 제거한 후, 약 5ml의 배지에 cell pellet을 부유시킨다. 배양용 플라스크(T25cm2)에 세포부유액(cell suspension)을 옮긴다. 플라스크의 한면에 앰플에 인쇄된 세포이름과 배양날짜 배지 등을 기입한다. 5%의 CO2와 95%의 공기가 공급되는 37℃의 배양기에서 배양한다. 배지는 세포가 자라는 양상을 관찰하면서 교체한다. 즉, 바닥면적의 약 80%이상을 세포들이 차지하며 배지의 색깔이 변하면 배지의 약 80%정도를 교체해 준다. 세포가 충분히 자랐을 경우, 필요에 따라 T75cm2플라스크에 옮긴다. 나. 단층세포 배양법 - 배양용기는 배지로 완전히 채워진 상태 플라스크의 입구주변을 소독한 후 5ml정도의 배지만 남겨놓은채 모든 배지를 제거한 후 37℃ 배양기에서 배양한다. 때로는 취급도중에 세포들이 떨어져 배지속에 부유하여 있을 수 있으므로, 플라스크 내의 모든 배지를 원심분리용관에 옮긴 후 1,000 rpm에서 3분정도 원심분리하여 cell을 모은 후, 5ml정도의 배지만 남긴 후 나머지 배지는 제거한다. 세포를 부유시킨 후 배양용 플라스크(T25cm2)에 옮긴다. 5%의 CO2와 95%의 공기가 공급되는 37℃의 배양기에서 배양한다. 배지는 1주일에 두번정도 80%를 교체한다. 다. 부유세포 배양법 - 세포는 15ml 원심분리용관에 배지로 완전히 채워진 상태 1,000 rpm에서 3분정도 원심분리하여 cell을 모은 후, 5ml정도의 배지만 남긴 후 나머지 배지는 제거한다. 세포를 부유시킨 후 배양용 플라스크(T25cm2)에 옮긴다. 5%의 CO2와 95%의 공기가 공급되는 37℃의 배양기에서 배양한다. 배지는 1주일에 두번정도 80%를 교체한다. 3. 그런 논문은 상당히 많습니다..왠만한 간치료제들은 가장 첫번째로 이 시험들을 하지요... 밑의 사이트 참조하세요.. http://www.jbc.org/cgi/content/full/271/39/23914 http://www.if-pan.krakow.pl/pjp/pdf/2005/5_588.pdf >안녕하세요.. >1. HepG2가 nomal한 human liver cell인가요..아님 암세포주인가요.. > 어떤데는 암세포라고 설명되어 있어서.. > >2. HepG2 동결주 분양받아서 실험하는데..해동에서 배양까지...자세한 protocol있으신분..... > >3. 혹시..hepG2 사용해서..ethanol이나 CCl4 stress에 대한 hepatoprotective 활성을 측정해보신 분 있남요..있으면 방법좀 갈쳐주셈..^^아님 관련논문이라도... 아시면....부탁....^^ > >아시는 분 있음..꼭......간단한 답변이라도 대 환영..^^합니다.. >그럼 모두덜 수고하세용..~~
    1. HepG2는 hepatoma 즉 사람 간암 세포주입니다. 2. HepG2만의 특별한 프로토콜은 없는데요..다른 세포주 배양과 거의 유사합니다..원배지는 Medium 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 90%; heat 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 (FBS), 10%입니다만..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90%; heat 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 (FBS) 10%에서도 잘 자랍니다.. 배양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동결세포주 배양법 앰플을 드라이아이스 용기에서 꺼낸후 37-40℃의 수조에 넣는다 40-60초 동안 신속하게 녹인다. 얼음이 녹자마자 수조에서 앰플을 꺼낸 후 상온의 70%알콜속에 넣어 소독한다. 이 순간부터 무균작업대에서 작업을 실시한다. 다시 알콜솜으로 앰플을 재소독한다. 알콜솜이나 여러겹의 소독된 타올 사이에 앰플을 넣은 후 황금색의 띠가 둘러진 앰플의 목부위를 부러뜨린다. DMSO(dimethylsulfoxide)를 제거하기 위하여 15ml 튜브에 키우고자하는 배양액(10% FBS가 첨가된 RPMI1640 혹은 DMEM)을 10ml 정도 넣은 다음 앰플속의 세포부유액(1-1.5ml)을 옮긴다. 1,000 rpm(200-400g)에서 3분간 원심분리한다. 상층액을 제거한 후, 약 5ml의 배지에 cell pellet을 부유시킨다. 배양용 플라스크(T25cm2)에 세포부유액(cell suspension)을 옮긴다. 플라스크의 한면에 앰플에 인쇄된 세포이름과 배양날짜 배지 등을 기입한다. 5%의 CO2와 95%의 공기가 공급되는 37℃의 배양기에서 배양한다. 배지는 세포가 자라는 양상을 관찰하면서 교체한다. 즉, 바닥면적의 약 80%이상을 세포들이 차지하며 배지의 색깔이 변하면 배지의 약 80%정도를 교체해 준다. 세포가 충분히 자랐을 경우, 필요에 따라 T75cm2플라스크에 옮긴다. 나. 단층세포 배양법 - 배양용기는 배지로 완전히 채워진 상태 플라스크의 입구주변을 소독한 후 5ml정도의 배지만 남겨놓은채 모든 배지를 제거한 후 37℃ 배양기에서 배양한다. 때로는 취급도중에 세포들이 떨어져 배지속에 부유하여 있을 수 있으므로, 플라스크 내의 모든 배지를 원심분리용관에 옮긴 후 1,000 rpm에서 3분정도 원심분리하여 cell을 모은 후, 5ml정도의 배지만 남긴 후 나머지 배지는 제거한다. 세포를 부유시킨 후 배양용 플라스크(T25cm2)에 옮긴다. 5%의 CO2와 95%의 공기가 공급되는 37℃의 배양기에서 배양한다. 배지는 1주일에 두번정도 80%를 교체한다. 다. 부유세포 배양법 - 세포는 15ml 원심분리용관에 배지로 완전히 채워진 상태 1,000 rpm에서 3분정도 원심분리하여 cell을 모은 후, 5ml정도의 배지만 남긴 후 나머지 배지는 제거한다. 세포를 부유시킨 후 배양용 플라스크(T25cm2)에 옮긴다. 5%의 CO2와 95%의 공기가 공급되는 37℃의 배양기에서 배양한다. 배지는 1주일에 두번정도 80%를 교체한다. 3. 그런 논문은 상당히 많습니다..왠만한 간치료제들은 가장 첫번째로 이 시험들을 하지요... 밑의 사이트 참조하세요.. http://www.jbc.org/cgi/content/full/271/39/23914 http://www.if-pan.krakow.pl/pjp/pdf/2005/5_588.pdf >안녕하세요.. >1. HepG2가 nomal한 human liver cell인가요..아님 암세포주인가요.. > 어떤데는 암세포라고 설명되어 있어서.. > >2. HepG2 동결주 분양받아서 실험하는데..해동에서 배양까지...자세한 protocol있으신분..... > >3. 혹시..hepG2 사용해서..ethanol이나 CCl4 stress에 대한 hepatoprotective 활성을 측정해보신 분 있남요..있으면 방법좀 갈쳐주셈..^^아님 관련논문이라도... 아시면....부탁....^^ > >아시는 분 있음..꼭......간단한 답변이라도 대 환영..^^합니다.. >그럼 모두덜 수고하세용..~~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