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cell cytotoxity를 측정하는 방법...

세포독성 실험을 하려하는데요... MTT assay와 MTS assay의 차이점을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 그냥 MTT를 약간 변형한 MTS assay가 더욱 쉽다고만 하는데요... 그렇다면 다들 MTS assay를 사용하지 MTT assay 쓰는 사람은 없지 않을까요?? 그런데 논문 검색을 해보면 MTT assay로 세포독성을 알아본 논문이 훨씬 많거든요?? 왜 그런지, MTS assay를 사용해서 세포독성 실험을 하는 것도 journal에서 인정을 해주는지 등에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 MTT assay
  • MTS assa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정철웅님의 답변

    >세포독성 실험을 하려하는데요... >MTT assay와 MTS assay의 차이점을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 >그냥 MTT를 약간 변형한 MTS assay가 더욱 쉽다고만 하는데요... >그렇다면 다들 MTS assay를 사용하지 MTT assay 쓰는 사람은 없지 않을까요?? >그런데 논문 검색을 해보면 MTT assay로 세포독성을 알아본 논문이 훨씬 많거든요?? >왜 그런지, MTS assay를 사용해서 세포독성 실험을 하는 것도 journal에서 인정을 해주는지 등에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걱정 말고 사용하세요 MTT assay어세이가 더 많은 것은 더 오래된 방법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저는 WST-1 assay가 lysis를 안 시켜도 되어서 애용합니다.
    >세포독성 실험을 하려하는데요... >MTT assay와 MTS assay의 차이점을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 >그냥 MTT를 약간 변형한 MTS assay가 더욱 쉽다고만 하는데요... >그렇다면 다들 MTS assay를 사용하지 MTT assay 쓰는 사람은 없지 않을까요?? >그런데 논문 검색을 해보면 MTT assay로 세포독성을 알아본 논문이 훨씬 많거든요?? >왜 그런지, MTS assay를 사용해서 세포독성 실험을 하는 것도 journal에서 인정을 해주는지 등에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걱정 말고 사용하세요 MTT assay어세이가 더 많은 것은 더 오래된 방법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저는 WST-1 assay가 lysis를 안 시켜도 되어서 애용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MTT의 단점을 보완해서 만들어진 것이 MTS와 XTT와 같은 시약입니다.. 앞의 설명처럼 MTT가 논문에 많은 이유는 이용된지 오래되어서 입니다.. 요즘에는 MTS나 XTT 이용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당연이 논문에서 인정을 해주구요... 가장 큰 차이는 MTT법에서는 배양액을 제거해야 하는데 MTS나 XTT는 그럴 필요가 없다는 점입니다. MTT에서는 MTT 처리후 2-6시간 정도 후에 배양액을 제거한 후에 DMSO를 넣어서 MTT처리로 살아있는 세포에 대사를 통하여 형성된 색을 녹아나오게 하지요.. 그런데 부착성 세포의 경우에는 문제가 덜한데.. 부유성 세포에서는 배양액을 제거하기 위해서 원심분리 등을 하는 불편함이 있구요.. 배양액 제거시에 세포들이 같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실험의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하여 MTS나 XTT는 그냥 처리 후에 4시간 정도 후에 배양액 제거 및 추가 처리 없이 바로 ELISA로 값을 읽을 수 있습니다..즉 편하고.. 오차의 가능성이 훨씬 적습니다.. >세포독성 실험을 하려하는데요... >MTT assay와 MTS assay의 차이점을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 >그냥 MTT를 약간 변형한 MTS assay가 더욱 쉽다고만 하는데요... >그렇다면 다들 MTS assay를 사용하지 MTT assay 쓰는 사람은 없지 않을까요?? >그런데 논문 검색을 해보면 MTT assay로 세포독성을 알아본 논문이 훨씬 많거든요?? >왜 그런지, MTS assay를 사용해서 세포독성 실험을 하는 것도 journal에서 인정을 해주는지 등에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MTT의 단점을 보완해서 만들어진 것이 MTS와 XTT와 같은 시약입니다.. 앞의 설명처럼 MTT가 논문에 많은 이유는 이용된지 오래되어서 입니다.. 요즘에는 MTS나 XTT 이용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당연이 논문에서 인정을 해주구요... 가장 큰 차이는 MTT법에서는 배양액을 제거해야 하는데 MTS나 XTT는 그럴 필요가 없다는 점입니다. MTT에서는 MTT 처리후 2-6시간 정도 후에 배양액을 제거한 후에 DMSO를 넣어서 MTT처리로 살아있는 세포에 대사를 통하여 형성된 색을 녹아나오게 하지요.. 그런데 부착성 세포의 경우에는 문제가 덜한데.. 부유성 세포에서는 배양액을 제거하기 위해서 원심분리 등을 하는 불편함이 있구요.. 배양액 제거시에 세포들이 같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실험의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하여 MTS나 XTT는 그냥 처리 후에 4시간 정도 후에 배양액 제거 및 추가 처리 없이 바로 ELISA로 값을 읽을 수 있습니다..즉 편하고.. 오차의 가능성이 훨씬 적습니다.. >세포독성 실험을 하려하는데요... >MTT assay와 MTS assay의 차이점을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 >그냥 MTT를 약간 변형한 MTS assay가 더욱 쉽다고만 하는데요... >그렇다면 다들 MTS assay를 사용하지 MTT assay 쓰는 사람은 없지 않을까요?? >그런데 논문 검색을 해보면 MTT assay로 세포독성을 알아본 논문이 훨씬 많거든요?? >왜 그런지, MTS assay를 사용해서 세포독성 실험을 하는 것도 journal에서 인정을 해주는지 등에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