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6-03
org.kosen.entty.User@6e0bdbf6
백유미(undine1213)
- 2
지금 암세포 배양을 하고 있습니다...
HepG2를 키우고 있는데요..
다른 실험실에서 세포배양을 좀 배우고 와서 지금은 혼자 하고 있는데요..
계대배양을 하기 위해서 trypin-EDTA(0.25%) 1X를 1ml을 처리하고 인큐베이터에서 5분 정도 지난 후에 보니, 아직도 세포가 잘 떨어지질 않더라구요...
저번에 배우러 간 실험실에서는 2~3분 정도만 지나도 cell이 다 떨어지는게 눈에 보였었거든요...
근데,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건지...
혹시 washing buffer의 종류가 trypsin에 영향을 미치는건가요??
왜냐하면 제가 원래 쓰던 buffer인 HBSS 대신 PBS를 washing buffer로 사용했었거든요~
cell이 잘 떨어지지 않는 이유가 궁금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trypsin-EDTA
- cell cultur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2006-06-03- 0
세포들의 부착성도 종류에 따라서 다릅니다..그래서 그런 현상이 일어나신 것입니다.. 아마도 이전에 배운 실험실의 세포들은 부착성이 적은 편이셨을 것입니다. 저같은 경우에도 항암실험 때문에 상당히 많은 종류의 암을 배양해 보았습니다.. 심지어 췌장암 세포주에서는 10X로 처리하고 상당히 두어야 떨어지는 종류도 있었습니다.. 조금 오래(15분) 두시거나... 농도를 2X나 4X를 쓰시면 금세 떨어질 것입니다. 버퍼의 영향은 아닙니다... >지금 암세포 배양을 하고 있습니다... >HepG2를 키우고 있는데요.. >다른 실험실에서 세포배양을 좀 배우고 와서 지금은 혼자 하고 있는데요.. >계대배양을 하기 위해서 trypin-EDTA(0.25%) 1X를 1ml을 처리하고 인큐베이터에서 5분 정도 지난 후에 보니, 아직도 세포가 잘 떨어지질 않더라구요... >저번에 배우러 간 실험실에서는 2~3분 정도만 지나도 cell이 다 떨어지는게 눈에 보였었거든요... >근데,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건지... >혹시 washing buffer의 종류가 trypsin에 영향을 미치는건가요?? >왜냐하면 제가 원래 쓰던 buffer인 HBSS 대신 PBS를 washing buffer로 사용했었거든요~ >cell이 잘 떨어지지 않는 이유가 궁금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답변
변해미님의 답변
2006-08-31- 0
저도 계대배양이 꽤나 번거로웠던 세포(kerainocytes)를 배양했던 적이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워싱버퍼로 님이 사용하셨던 2가지 모두를 처리했었습니다. DPBS로 처음 2번 워싱후, DPBS에 둔채로 인큐베이터에서 일정시간 두고.. 다시 HBSS로 2번 워싱 후, HBSS둔채로 인큐베이터에 일정시간을 둔 다음 에 Trypsin-EDTA를 처리했습니다. 제가 사용한 TE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TE보다는 농도가 낮은거였구요.. 세포를 보면서 시간조절을 하는게 중요하답니다. ===================================================================== >지금 암세포 배양을 하고 있습니다... >HepG2를 키우고 있는데요.. >다른 실험실에서 세포배양을 좀 배우고 와서 지금은 혼자 하고 있는데요.. >계대배양을 하기 위해서 trypin-EDTA(0.25%) 1X를 1ml을 처리하고 인큐베이터에서 5분 정도 지난 후에 보니, 아직도 세포가 잘 떨어지질 않더라구요... >저번에 배우러 간 실험실에서는 2~3분 정도만 지나도 cell이 다 떨어지는게 눈에 보였었거든요... >근데,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건지... >혹시 washing buffer의 종류가 trypsin에 영향을 미치는건가요?? >왜냐하면 제가 원래 쓰던 buffer인 HBSS 대신 PBS를 washing buffer로 사용했었거든요~ >cell이 잘 떨어지지 않는 이유가 궁금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