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6-05
org.kosen.entty.User@28f7a9b2
최명섭(rino798)
- 1
안녕하세요.
요즘 2-DE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가지 궁금증이 생기는것이...
2-DE를 통해 특이적 혹은 비특이적 발현되는 단백질을 찾아서 동정하여 그 단백질의 명칭을 알아낸다음...
할수있는 실험 설계는 어떤것이 있나요?
현재 복제우와 정상우 신장을 가지고 동정의뢰까지 해둔 상태인데...
그 다음 어떤 실험을 전개할수 있을까요?
전문가분의 가르침을 받고 싶습니다. ^^
- 2-D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정철웅님의 답변
2006-06-08- 0
>>2-DE를 통해 특이적 혹은 비특이적 발현되는 단백질을 찾아서 동정하여 그 단백질의 명칭을 알아낸다음... > >할수있는 실험 설계는 어떤것이 있나요? > >현재 복제우와 정상우 신장을 가지고 동정의뢰까지 해둔 상태인데... > >그 다음 어떤 실험을 전개할수 있을까요? > >전문가분의 가르침을 받고 싶습니다. ^^ 일단 질문이 약간 헷갈리는데요, 2-DE 실험 디자인이 아니라 2-DE 후의 실험 디자인에 대해서 물으신것 맞으시죠? 그리고 타겟은 복제한 소와 정상 소의 신장 (Kidney)를 가지고 비교하신것이죠? 위의 질문을 하셨다는 전제하에 답을 달겠습니다. 실험 디자인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1. 어떤 단백질이 동정되었는가? 2. 왜 신장을 가지고 했는가? 입니다. 소의 신장이라면 상당히 클텐데 신장 중에서 어느 부위를 가지고 하셨는지도 고려 대상이 되겠군요. 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의 몇가지 질문에 답을 구하시고 나서 심도있는 실험을 디자인 하시면 될 것으로 봅니다. 1. western blot이나 Immunohistochemistry상에서도 차이가 나는가? 2. mRNA level에서도 차이가 나는가? 3. 다른 조직에서도 그 단백질의 발현이 변하였는가? 4. 그 단백질의 양의 변화 또는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의 변화가 복제과정중에 생긴 염색체의 변화에 기인하는가? 5. 다른 복제소에서도 똑같은 양상이 관찰되는 일반적 현상인가? 아니면 우연으로 1개의 클론에서 발견되는 happening인가? 위의 사항을 확인 하시면 간단한 논문은 나올 것이고 더 자세한 연구를 할지 말지를 결정하실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좋은 결과 얻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