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latelet 분리 방법

안녕하세요!! 제가 며칠전에 동물를 이용하여 platelet를 분리하는 protocol을 여쭈어 보았는데여 그냥 실험에 대해서는 설명을 않해주신것 같아 다신 글을 올립니다. 제가 알고 싶은 것은 동물(rat)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나서 어찌 해야 할지를 잘 몰라서요 일반적인 문헌을 보게 되면 human을 기준으로 많이 했더라구요! 근데 동물과 human은 buffer조성이 조금 틀린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buffer조성과 처음에 혈액을 채취할때 그냥 tube로 해도 되는지 아니면 EDTA 등 첨가되 tube을 써야 하는지 어떤것이 더 좋은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전에 답변도 감사하게 생각을 하고요 자세히 나온 문헌이 있다면 그것또한 감사히 받겠습니다. 넘 염치가 없는듯하네여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 합니다.
  • kk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윤철희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제가 며칠전에 동물를 이용하여 platelet를 분리하는 protocol을 여쭈어 보았는데여 >그냥 실험에 대해서는 설명을 않해주신것 같아 다신 글을 올립니다. >제가 알고 싶은 것은 동물(rat)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나서 어찌 해야 할지를 잘 몰라서요 >일반적인 문헌을 보게 되면 human을 기준으로 많이 했더라구요! >근데 동물과 human은 buffer조성이 조금 틀린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buffer조성과 처음에 혈액을 채취할때 그냥 tube로 해도 되는지 >아니면 EDTA 등 첨가되 tube을 써야 하는지 어떤것이 더 좋은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전에 답변도 감사하게 생각을 하고요 >자세히 나온 문헌이 있다면 그것또한 감사히 받겠습니다. >넘 염치가 없는듯하네여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 합니다. 우선 Platelet은 혈액세포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혈액이 응고가 되면 안되겠죠.. 항응고제가 있는 (또는 첨가를 해준) 튜브에 혈액을 채취해야합니다. Washing을 할때는 PBS + FBS를 사용하거나 사람의 경우에는 PBS + 사람혈액세포 분리 후 나오는 혈장을 쓰기도 합니다. 그냥 FBS를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분리하는 방법으로 몇가지를 소개해드리면.. 1. gradient centrifugation using Ficol or sucrose 2. Magnetic bead 3. cell sorter 와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2번과 3번은 물론 platelet specific antibody가 필요하구요.. 좋은 실험되세요..
    >안녕하세요!! >제가 며칠전에 동물를 이용하여 platelet를 분리하는 protocol을 여쭈어 보았는데여 >그냥 실험에 대해서는 설명을 않해주신것 같아 다신 글을 올립니다. >제가 알고 싶은 것은 동물(rat)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나서 어찌 해야 할지를 잘 몰라서요 >일반적인 문헌을 보게 되면 human을 기준으로 많이 했더라구요! >근데 동물과 human은 buffer조성이 조금 틀린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buffer조성과 처음에 혈액을 채취할때 그냥 tube로 해도 되는지 >아니면 EDTA 등 첨가되 tube을 써야 하는지 어떤것이 더 좋은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전에 답변도 감사하게 생각을 하고요 >자세히 나온 문헌이 있다면 그것또한 감사히 받겠습니다. >넘 염치가 없는듯하네여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 합니다. 우선 Platelet은 혈액세포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혈액이 응고가 되면 안되겠죠.. 항응고제가 있는 (또는 첨가를 해준) 튜브에 혈액을 채취해야합니다. Washing을 할때는 PBS + FBS를 사용하거나 사람의 경우에는 PBS + 사람혈액세포 분리 후 나오는 혈장을 쓰기도 합니다. 그냥 FBS를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분리하는 방법으로 몇가지를 소개해드리면.. 1. gradient centrifugation using Ficol or sucrose 2. Magnetic bead 3. cell sorter 와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2번과 3번은 물론 platelet specific antibody가 필요하구요.. 좋은 실험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홍동호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제가 며칠전에 동물를 이용하여 platelet를 분리하는 protocol을 여쭈어 보았는데여 >그냥 실험에 대해서는 설명을 않해주신것 같아 다신 글을 올립니다. >제가 알고 싶은 것은 동물(rat)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나서 어찌 해야 할지를 잘 몰라서요 >일반적인 문헌을 보게 되면 human을 기준으로 많이 했더라구요! >근데 동물과 human은 buffer조성이 조금 틀린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buffer조성과 처음에 혈액을 채취할때 그냥 tube로 해도 되는지 >아니면 EDTA 등 첨가되 tube을 써야 하는지 어떤것이 더 좋은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전에 답변도 감사하게 생각을 하고요 >자세히 나온 문헌이 있다면 그것또한 감사히 받겠습니다. >넘 염치가 없는듯하네여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 합니다. 혈소판 분리 및 여러가지 관련된 시험법에 대한 참고문헌을 첨부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제가 며칠전에 동물를 이용하여 platelet를 분리하는 protocol을 여쭈어 보았는데여 >그냥 실험에 대해서는 설명을 않해주신것 같아 다신 글을 올립니다. >제가 알고 싶은 것은 동물(rat)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나서 어찌 해야 할지를 잘 몰라서요 >일반적인 문헌을 보게 되면 human을 기준으로 많이 했더라구요! >근데 동물과 human은 buffer조성이 조금 틀린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buffer조성과 처음에 혈액을 채취할때 그냥 tube로 해도 되는지 >아니면 EDTA 등 첨가되 tube을 써야 하는지 어떤것이 더 좋은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전에 답변도 감사하게 생각을 하고요 >자세히 나온 문헌이 있다면 그것또한 감사히 받겠습니다. >넘 염치가 없는듯하네여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 합니다. 혈소판 분리 및 여러가지 관련된 시험법에 대한 참고문헌을 첨부합니다. 참고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