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6-09
org.kosen.entty.User@669d940
황동규(dong3772)
- 1
DNA shuffilng 이라는 기법이 어떤것인가요?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 DNA shuffilng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오동화님의 답변
2006-06-09- 0
>DNA shuffilng 이라는 기법이 어떤것인가요?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 http://www.nyu.edu/classes/ytchang/book/n002.html#007 를 인용하면... ::::특정위치돌연변이와 DNA 섞음 (shuffling):::: 단백질 합성의 주형이 되는 유전자 즉, DNA의 일부 서열이 바뀌게 되는 과정을 돌연변이라고 하며, 유전코드의 위치에 따라서는 이로 인해 생성되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이 바뀌기도 한다. 유전자의 특정 위치를 임의로 조작하여 아미노산 한 개 내지는 몇 개만을 치환하는 기법을 특정위치돌연변이 (site directed mutagenesis)고 한다. 핵산을 바꾸고 싶은 위치를 중심으로하여 수십개 정도에 해당하는 핵산을 합성하여 추출한 유전자에 가하면, 비록 가운데 한자리가 정확히 맞지 않아도 양쪽 측면의 서열에 의해 이중나선을 이룬다. 이를 주형의 일부로 이용하여 PCR을 하면 돌연변이 유전자를 얻을 수 있다. 돌연변이된 유전자는 벡터 (vector: 유전자 전달체)를 이용하여 미생물에 삽입하여 아미노산 서열이 바뀐 단백질을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은 단백질의 특정 아미노산의 역할을 규명하는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무작위로 점돌연변이 (point mutation)을 유도할 수도 있는데, 이는 PCR 과정에서 반응용액에 포함되는 염의 농도를 조절하게 되면 DNA 복제의 정확도가 낮아져서 일부 위치에서 돌연변이가 일어나게 되는 것을 이용한다. 이때 유발되는 돌연변이의 빈도는 가해주는 염의 농도로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법은 실수유발PCR (error prone PCR)이라고 부른다. 점돌연변이보다 빠르게 인공적 돌연변이를 유발하기 위해서는, 돌연변이를 가진 DNA 들을 서로 잘라 섞어주는 기법이 사용된다. 이를 DNA 섞음 (DNA shuffling) 기법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