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6-12
org.kosen.entty.User@590027d6
김경윤(k2k2y1)
- 2
안녕하세요!!
제가 며칠전에 동물를 이용하여 platelet를 분리하는 protocol을 여쭈어 보았는데여
그냥 실험에 대해서는 설명을 않해주신것 같아 다신 글을 올립니다.
제가 알고 싶은 것은 동물(rat)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나서 어찌 해야 할지를 잘 몰라서요
일반적인 문헌을 보게 되면 human을 기준으로 많이 했더라구요!
근데 동물과 human은 buffer조성이 조금 틀린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buffer조성과 처음에 혈액을 채취할때 그냥 tube로 해도 되는지
아니면 EDTA 등 첨가되 tube을 써야 하는지 어떤것이 더 좋은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전에 답변도 감사하게 생각을 하고요
자세히 나온 문헌이 있다면 그것또한 감사히 받겠습니다.
넘 염치가 없는듯하네여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 합니다.
- kk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정철웅님의 답변
2006-06-12- 0
아래의 방법을 참조 해보시기 바랍니다. 맨 밑의 저널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Isolation of plasma and platelets After euthanasia, blood was drawn into a vacutainer (Becton Dickinson Vacutainer Systems, Franklin Lakes, NJ, U.S.A.) from a heart puncture using a multiple sample Luer adapter. Fractions of blood were processed for determining plasma insulin levels. Platelets were isolated from the remaining blood as previously described [17]. Briefly, 3.2 ml of acid citrate dextrose (ACD) buffer was added immediately to the blood, and was transferred to 50 ml conical bottom polypropylene tubes. Isotonic NaCl was added (1/4 of total volume). Samples were centrifuged at 300×g for 20 min. at 19 ◦C. The upper platelet-rich plasma layer was centrifuged further at 800×g for 15 min. at 19 ◦C, the supernatant was discarded and the pellet was resuspended in 5 ml of phosphate buffered saline and 1ml ACD. Again, samples were centrifuged at 800×g for 15 min. at 19 ◦C and the supernatant discarded, the pellet resuspended in 1 ml 1X PBS, and 1 unit each of leupeptin, pepstatin and aprotinin protease inhibitorswas added, before storing all samples in siliconized Eppendorf tubes at −80 ◦C. Obese state leads to elevated levels of TGF-β and COX isoforms in platelets of Zucker rats 2006 Molecular and Cellular Biochemistry 284, 19 - 24 -
답변
홍동호님의 답변
2006-10-10- 0
>안녕하세요!! >제가 며칠전에 동물를 이용하여 platelet를 분리하는 protocol을 여쭈어 보았는데여 >그냥 실험에 대해서는 설명을 않해주신것 같아 다신 글을 올립니다. >제가 알고 싶은 것은 동물(rat)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나서 어찌 해야 할지를 잘 몰라서요 >일반적인 문헌을 보게 되면 human을 기준으로 많이 했더라구요! >근데 동물과 human은 buffer조성이 조금 틀린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buffer조성과 처음에 혈액을 채취할때 그냥 tube로 해도 되는지 >아니면 EDTA 등 첨가되 tube을 써야 하는지 어떤것이 더 좋은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전에 답변도 감사하게 생각을 하고요 >자세히 나온 문헌이 있다면 그것또한 감사히 받겠습니다. >넘 염치가 없는듯하네여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 합니다. 혈소판 관련된 여러가지 실험법에 대하여 참고문헌에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