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6-12
org.kosen.entty.User@182449f4
임석묵(johnlim7)
- 3
반사방지 필름이 반사방지 기능외 부가기능이 추가되어야 한다고 하는데, 그 내용에 대해
아시는 분 설명 부탁 드립니다.
- anti reflect film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정상훈님의 답변
2006-06-14- 0
용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인 요구물성으로 말씀드린다면 1) 耐 Scratch 성, 2) 광투과율, 3) 내오염성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2006-06-14- 0
>반사방지 필름이 반사방지 기능외 부가기능이 추가되어야 한다고 하는데, 그 내용에 대해 >아시는 분 설명 부탁 드립니다. coatcoat님이 잘 설명해 주셨는데, 첨언드리면.. 1. 대전방지 기능입니다. 디스플레이 표면에 나타나는 정전기 방지 및 먼지가 앉는 것을 줄이는 기능입니다. 2. 방오기능입니다. 지문등의 유지성분이 디스플레이 표면에 묻지 않게 하는 기능입니다. 3. 타기능과의 복합화입니다. 근적외선 차단등등. -
답변
최정호님의 답변
2006-06-17- 0
>반사방지 필름이 반사방지 기능외 부가기능이 추가되어야 한다고 하는데, 그 내용에 대해 >아시는 분 설명 부탁 드립니다. 윗분들이 설명해 주셨는데..내용 첨부합니다. 다음 내용은 디스플레이(LCD등) 기준입니다. 반사방지 기능은 크게 두가지 방법으로 나뉩니다. 1. 가시광선의 가간섭 현상을 이용한 무반사 코팅층 도입 (Anti relfelction : AR) 일반적으로 1개 또는 2개층의 굴절율 조정된 층으로 되어있음 2. 필름 표면에 Anti glare 기능을 갖는 Haze 코팅층 도입 (Anti glare : AG) 3. 또는 이 두가지를 동시에 도입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Haze(AG)층 위에 AR층을 입히게 됩니다. 위의 반사방지 기능은 단순히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광학적 특성을 조절한 것으로 일반 디스플레이어의 최외곽에 위치하기 때문에 부가적인 기능을 반드시 가져야 합니다. 1. 내스크라치성 손으로 자주 만지게 되므로 적당한 수준(연필경도 기준 3H이상)의 경도를 가져서 스크라치가 없어야 합니다. 2. 방오기능 디스플레이어의 경우 자주 정전기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공기중 먼지를 끌어당겨 표면이 더러워질수 있습니다. 디스플레이어 표면이 적당한 전기전도성을 가지면 정전기는 사라지고 먼지는 달라붙지 않습니다. 이러한 대전 방지기능은 대부분의 경우 AG, AR층과 별도로 그 밑에 층에 도입되게 됩니다. 3. 내화학성등의 내구성 반사방지를 위해 도입된 AR, AG층의 경우 일부가 떨어지게 되면 눈에 확 띄게 됩니다. 또는 얼룩으로 보일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물이 묻거나 뭔가가 묻어서 유저가 그걸 지우려고 할 경우에도 끝까지 제거되지 않아야 합니다. 웬만한 알코올, 물, 술 등에 견뎌야 하겠지요..이런건 흔한 용제이니까.. 4. 색상 윗분이 광투과율을 말씀하셨는데..AG층의 경우 약간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AR층의 경우 별 문제는 되지 않습니다. AR층의 경우 1개 층으로 된경우에도 반사율이 1% 근처이고 2층 이상의 경우 1% 이하로 거의 웬만한 광은 투과가 됩니다. 그러나 광의 가간섭 현상을 이용한 AR층의 경우 광 파장대에 따라서 투과율이 변합니다. 파장에 따른 차이는 곧 색상의 변화를 의미하지요..물론 일반 유저가 보기에는 구별할 수 없지만..디스플레이 업계에서는 이것도 spec. 관리가 됩니다. 위의 것은 LCD 기준으로 말씀드렸고 추가적인 기능이 더 포함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생각이 잘 안나네요.. 참 TV용으로 사용될 경우 적외선 흡수 기능이 포함 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PDP용 필름에서는 반드시 들어갑니다. 물론 이때도 AR, AG층과 별도의 층이 도입되어 적외선을 흡수하게 됩니다. 바로 리모컨의 오작동을 막기 위해서죠.. 이외에 EMI 차폐등이 들어 갈 수 있겠네요... 그럼..이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