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6-22
org.kosen.entty.User@15fc8841
송지영(sssjy)
- 3
마우스로부터 혈청을 분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젤라틴을 형성하는 것 처럼 보이는데요.
무슨 문제가 있는지 잘 모르겠군요.
헤파린 처리된 capillary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안구기저막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1400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고나면 맑은 상등액이 아니라 젤라틴처럼 반응고상태를 나타냅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 serum
- mous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임경민님의 답변
2006-06-22- 0
>마우스로부터 혈청을 분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젤라틴을 형성하는 것 처럼 보이는데요. >무슨 문제가 있는지 잘 모르겠군요. >헤파린 처리된 capillary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안구기저막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1400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고나면 맑은 상등액이 아니라 젤라틴처럼 반응고상태를 나타냅니다. > >답변 부탁드립니다. 충분히 응고가 안되어서 그렇습니다. 상온에서 1시간가량 방치한 후 더 높은 rpm 조건에서 분리하여 보십시오. 도움이 되셨기를.. -
답변
김홍기님의 답변
2006-06-22- 0
혈액에서 혈장(plasma), 혈청(serum)을 분리할때, 혈장의 경우 즉 혈액이 굳지 않은 상태에서 적혈구를 제외하고 얻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혈소판과 피브리노젠이라고 하는 것이 혈액을 응고 시키는데, 이때 anticoagulator인 헤파린, EDTA등을 사용하여 혈액 응고를 막아주어 분리해낼 수 있습니다. 혈청의 경우는 위에서 말한 혈액 응고 이후의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보통 상온에서 완전히 응고 시키고 나서 원심분리하여 얻거나, 응고를 촉진시키는 clotting activator가 처리된 튜브에 넣어 혈액응고를 빨리 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얻을 수 있습니다. 질문을 보니 이 경우는 혈장을 뽑을 때 사용하는 방법이며, 헤파린 없이... 아무것도 처리가 되지 않은 튜브를 이용하여 혈액응고를 시키고 원심분리하면 깨끗한 혈청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마우스로부터 혈청을 분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젤라틴을 형성하는 것 처럼 보이는데요. >무슨 문제가 있는지 잘 모르겠군요. >헤파린 처리된 capillary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안구기저막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1400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고나면 맑은 상등액이 아니라 젤라틴처럼 반응고상태를 나타냅니다. > >답변 부탁드립니다. -
답변
강효찬님의 답변
2006-06-22- 0
혈청을 분리하기 위해서 헤파린 처리된 capillary를 사용하셨다고 하셨는데... 약간의 혼돈이 있으신것은 아니신지... 혈장을 얻기 위해서는 헤파린 처린된 capillary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혈청이 필요할 경우는 그와는 다르게 plain capillary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1,400g 정도는 너무 약합니다. 12,000rpm(15,290 xg)에 5분~10분 정도면 충분히 깨끗한 혈청(혈장)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원심상에서의 오류인것 같습니다. 그리고 혈장과 혈청을 잘 구분하셔서 모든 검사를 하십시오.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혈청에서 얻은 값이 혈장에서 얻은 값보다 약간 높다고 보시는게 좋습니다. 이상입니다~ 즐거운 실험되시길... >마우스로부터 혈청을 분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젤라틴을 형성하는 것 처럼 보이는데요. >무슨 문제가 있는지 잘 모르겠군요. >헤파린 처리된 capillary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안구기저막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1400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고나면 맑은 상등액이 아니라 젤라틴처럼 반응고상태를 나타냅니다. > >답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