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6-26
org.kosen.entty.User@7ba491ca
김경윤(k2k2y1)
- 2
안녕하세여
고센을 자주 이용하는 학생입니다.
이번에 방학을 맞아하여 공부좀 할려고 하는데요
pain model과 MRI나 fMRI에 나와있는 paper을 좀 구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human을 기준으로 하는 paper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동물을 모델로 하는 paper는 구하기가 힘들더라고요
그리고 fMRI을 사용하고 진단한 paper는 더욱더 찾기가 어려운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중 paper을 가지고 있으신분이시나
알고 계신분들은 많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kk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2006-06-28- 0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ume 18, Issue 2 , Pages 152 - 159 Functional MRI of the rat lumbar spinal cord involving painful stimulation and the effect of peripheral joint mobilization Krisztina L. Malisza, PhD 1 *, Patrick W. Stroman, PhD 1, Allan Turner 1, Lori Gregorash 1, Tadeusz Foniok 1, Anthony Wright, PhD 2 Abstract Purpose: To examine neuronal activation in the spinal cord due to secondary hyperalgesia resulting from intrajoint capsaicin injection, and the effect of physiotherapy manipulation,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in -chloralose anesthetized rats. Materials and Methods: FMRI of the rat lumbar spinal cord was performed at 9.4 Tesla. Stimuli included injection of 25 L of capsaicin (128 g/mL in 7.5% dimethyl sulfoxide [DMSO]) into the right forepaw or 75 L into the right ankle joint followed by a light touch stimulus, with and without physiotherapy manipulation. Results: Activation of pain areas of the spinal cord (dorsal horn) was found in all animals after injection of capsaicin into the plantar surface of the rat hindpaw and ankle joint. Overlay maps depicting activations and deactivations showed significant reproducibility between experiments. Greater overlay of activations were observed for intrajoint compared to intradermal capsaicin injection. The distribution of activations after stimulation of the hindpaw using a light touch stimulus was somewhat more varied; activation of the dorsal horn was evident, with greater overlap resulting when joint mobilization was not performed. Conclusion: Results suggest a trend toward decreased areas of activation in the spinal cord associated with pain, as a result of hyperalgesia, following physiotherapy joint mobilization. >안녕하세여 >고센을 자주 이용하는 학생입니다. >이번에 방학을 맞아하여 공부좀 할려고 하는데요 >pain model과 MRI나 fMRI에 나와있는 paper을 좀 구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human을 기준으로 하는 paper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동물을 모델로 하는 paper는 구하기가 힘들더라고요 >그리고 fMRI을 사용하고 진단한 paper는 더욱더 찾기가 어려운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중 paper을 가지고 있으신분이시나 >알고 계신분들은 많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
홍동호님의 답변
2006-09-15- 0
>안녕하세여 >고센을 자주 이용하는 학생입니다. >이번에 방학을 맞아하여 공부좀 할려고 하는데요 >pain model과 MRI나 fMRI에 나와있는 paper을 좀 구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human을 기준으로 하는 paper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동물을 모델로 하는 paper는 구하기가 힘들더라고요 >그리고 fMRI을 사용하고 진단한 paper는 더욱더 찾기가 어려운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중 paper을 가지고 있으신분이시나 >알고 계신분들은 많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진통작용을 보는 모델은 참고문헌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