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CR을 하려고 하는데요..primer의 온도가 68.9도와 69.3도예요..ㅠ.ㅠ

안녕하세요. PCR을 하려고 하는데요 1st PCR에 사용하는 primer의 Tm이 68.9도와 69.3도 인데요. 1st PCR initial denatiration : 95도, 3분,1cycle cycle 30 denaturation : 95도, 1분 annealing : 69.1도 30초 extension : 72도, 1분 final extension : 72도, 10분, 1cycle 그 후 4도씨에서 식힘.. product size : 720bp 이런 cycle로 PCR을 했는데요,(반응 vol.은 80ul) 전혀 PCR이 되지 않은 것같아요.. 위의 PCR product로 nested PCR을 하면 primer만 진하게 보이거든요. nested PCR condition (nested PCR primer Tm : 64도, 62.7도 1 cycle : initial denaturation : 95도, 1분 30 cycle denaturation : 95도, 1분 annealing : 63.3 도 30초 extension : 72도, 1분 1cycle : final extension : 72도 10분 4도, 무한대 보관 product size : 373bp 어떻게 PCR조건을 바꾸면 좋을까요? genomic DNA에서 원하는 부분만 증폭시킬려하거든요. 부디 꼭 도와주십시오. 감사합니다.
  • PC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정철웅님의 답변

    primer Tm에서 10 도를 빼서 해봅니다. 그래서 잡 밴드 많이 나오면 5도 단위로 올려 보는데요, 한번 해보시기 바랍니다. 대략 50도에서 해도 될 것 같긴 한데... 정 안되면 2 temperature cycle을 돌리시는 것도... denaturation : 95도, 1분 annealing and extension : 68~ 72도, 1분 >안녕하세요. PCR을 하려고 하는데요 1st PCR에 사용하는 primer의 Tm이 68.9도와 69.3도 인데요. >1st PCR >initial denatiration : 95도, 3분,1cycle > >cycle 30 >denaturation : 95도, 1분 >annealing : 69.1도 30초 >extension : 72도, 1분 > >final extension : 72도, 10분, 1cycle > >그 후 4도씨에서 식힘.. > product size : 720bp > >이런 cycle로 PCR을 했는데요,(반응 vol.은 80ul) 전혀 PCR이 되지 않은 것같아요.. > >위의 PCR product로 nested PCR을 하면 primer만 진하게 보이거든요. >nested PCR condition >(nested PCR primer Tm : 64도, 62.7도 >1 cycle : initial denaturation : 95도, 1분 > >30 cycle >denaturation : 95도, 1분 >annealing : 63.3 도 30초 >extension : 72도, 1분 > >1cycle : final extension : 72도 10분 > >4도, 무한대 보관 >product size : 373bp > >어떻게 PCR조건을 바꾸면 좋을까요? >genomic DNA에서 원하는 부분만 증폭시킬려하거든요. >부디 꼭 도와주십시오. 감사합니다. >
    primer Tm에서 10 도를 빼서 해봅니다. 그래서 잡 밴드 많이 나오면 5도 단위로 올려 보는데요, 한번 해보시기 바랍니다. 대략 50도에서 해도 될 것 같긴 한데... 정 안되면 2 temperature cycle을 돌리시는 것도... denaturation : 95도, 1분 annealing and extension : 68~ 72도, 1분 >안녕하세요. PCR을 하려고 하는데요 1st PCR에 사용하는 primer의 Tm이 68.9도와 69.3도 인데요. >1st PCR >initial denatiration : 95도, 3분,1cycle > >cycle 30 >denaturation : 95도, 1분 >annealing : 69.1도 30초 >extension : 72도, 1분 > >final extension : 72도, 10분, 1cycle > >그 후 4도씨에서 식힘.. > product size : 720bp > >이런 cycle로 PCR을 했는데요,(반응 vol.은 80ul) 전혀 PCR이 되지 않은 것같아요.. > >위의 PCR product로 nested PCR을 하면 primer만 진하게 보이거든요. >nested PCR condition >(nested PCR primer Tm : 64도, 62.7도 >1 cycle : initial denaturation : 95도, 1분 > >30 cycle >denaturation : 95도, 1분 >annealing : 63.3 도 30초 >extension : 72도, 1분 > >1cycle : final extension : 72도 10분 > >4도, 무한대 보관 >product size : 373bp > >어떻게 PCR조건을 바꾸면 좋을까요? >genomic DNA에서 원하는 부분만 증폭시킬려하거든요. >부디 꼭 도와주십시오. 감사합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기윤님의 답변

    PCR이 안된다니 참 답답하시겠네요. 그게 되야 다른것을 계속 진행할텐데... 또 더 높거나 낮다고 해서 PCR이 안되는 건 아닌데요, 일반적으로 primer Tm값보다 5도 정도 낮춰서 annealing을 합니다. 일단 해보고 band pattern을 보고 protocol을 바꿔 보시는게 좋을 듯 싶네요. 그리고, 1st PCR에서 rxn volume을 80까지 할 필요가 있을까요? 일단 1st PCR band를 확인하고 2nd으로 들어가시는게 시간을 아끼는 방법이겠죠. 그리고 소량만 있어도 2nd PCR을 할 수 있으니까 20ul정도만 해도 되지 않을까요?. genomic DNA를 증폭한다고 하는데, promoter 부위인가요? 저두 일전에 genomic DNA에서 특정 promoter를 PCR을 하는데, 계속 target band가 안뜨더라구요. 무지 지저분하게만 나왔는데 (Taq을 썼음), 이 문제는 pfu polymerase를 써서 해결됐습니다. 문제는 band size가 안 맞는건데, 이건 denature 온도를 94도에서 98도로 올리니까 해결되더라구요. 제가 target했던 promoter에 GC함량이 꽤 높았거든요. 일부분은 거의 90% 정도가 GC일정도로.. 이상이 제가 드릴수 있는 tip인거 같네요. 저도 여기까지 해결하는데 6개월이 걸렸습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PCR을 하려고 하는데요 1st PCR에 사용하는 primer의 Tm이 68.9도와 69.3도 인데요. >1st PCR >initial denatiration : 95도, 3분,1cycle > >cycle 30 >denaturation : 95도, 1분 >annealing : 69.1도 30초 >extension : 72도, 1분 > >final extension : 72도, 10분, 1cycle > >그 후 4도씨에서 식힘.. > product size : 720bp > >이런 cycle로 PCR을 했는데요,(반응 vol.은 80ul) 전혀 PCR이 되지 않은 것같아요.. > >위의 PCR product로 nested PCR을 하면 primer만 진하게 보이거든요. >nested PCR condition >(nested PCR primer Tm : 64도, 62.7도 >1 cycle : initial denaturation : 95도, 1분 > >30 cycle >denaturation : 95도, 1분 >annealing : 63.3 도 30초 >extension : 72도, 1분 > >1cycle : final extension : 72도 10분 > >4도, 무한대 보관 >product size : 373bp > >어떻게 PCR조건을 바꾸면 좋을까요? >genomic DNA에서 원하는 부분만 증폭시킬려하거든요. >부디 꼭 도와주십시오. 감사합니다. >
    PCR이 안된다니 참 답답하시겠네요. 그게 되야 다른것을 계속 진행할텐데... 또 더 높거나 낮다고 해서 PCR이 안되는 건 아닌데요, 일반적으로 primer Tm값보다 5도 정도 낮춰서 annealing을 합니다. 일단 해보고 band pattern을 보고 protocol을 바꿔 보시는게 좋을 듯 싶네요. 그리고, 1st PCR에서 rxn volume을 80까지 할 필요가 있을까요? 일단 1st PCR band를 확인하고 2nd으로 들어가시는게 시간을 아끼는 방법이겠죠. 그리고 소량만 있어도 2nd PCR을 할 수 있으니까 20ul정도만 해도 되지 않을까요?. genomic DNA를 증폭한다고 하는데, promoter 부위인가요? 저두 일전에 genomic DNA에서 특정 promoter를 PCR을 하는데, 계속 target band가 안뜨더라구요. 무지 지저분하게만 나왔는데 (Taq을 썼음), 이 문제는 pfu polymerase를 써서 해결됐습니다. 문제는 band size가 안 맞는건데, 이건 denature 온도를 94도에서 98도로 올리니까 해결되더라구요. 제가 target했던 promoter에 GC함량이 꽤 높았거든요. 일부분은 거의 90% 정도가 GC일정도로.. 이상이 제가 드릴수 있는 tip인거 같네요. 저도 여기까지 해결하는데 6개월이 걸렸습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PCR을 하려고 하는데요 1st PCR에 사용하는 primer의 Tm이 68.9도와 69.3도 인데요. >1st PCR >initial denatiration : 95도, 3분,1cycle > >cycle 30 >denaturation : 95도, 1분 >annealing : 69.1도 30초 >extension : 72도, 1분 > >final extension : 72도, 10분, 1cycle > >그 후 4도씨에서 식힘.. > product size : 720bp > >이런 cycle로 PCR을 했는데요,(반응 vol.은 80ul) 전혀 PCR이 되지 않은 것같아요.. > >위의 PCR product로 nested PCR을 하면 primer만 진하게 보이거든요. >nested PCR condition >(nested PCR primer Tm : 64도, 62.7도 >1 cycle : initial denaturation : 95도, 1분 > >30 cycle >denaturation : 95도, 1분 >annealing : 63.3 도 30초 >extension : 72도, 1분 > >1cycle : final extension : 72도 10분 > >4도, 무한대 보관 >product size : 373bp > >어떻게 PCR조건을 바꾸면 좋을까요? >genomic DNA에서 원하는 부분만 증폭시킬려하거든요. >부디 꼭 도와주십시오. 감사합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박윤희님의 답변

    저의 경우에는 primer의 Tm이 70도라 하여도 60도 근처에서 돌리면 잘 나오던데요... 저라면 이 경우에 95도 5분 95도 40초 60도 40초 72도 1분, 30 cycles 72도 10분 4도 무한대... 어떤 분이 말씀 하신 것처럼 nest PCR의 전단계의 목적으로만 이 PCR을 하시는 거라면 80ul보다는 20 혹은 30ul로 하셔도 무방할것 같구요. 만약 이 과정에서 전혀 product가 나오지 않으면, annealing temp에 변화를 주곤 합니다. 57도에서 매 싸이클마다 0.2도씩 증가하는 조건이라든지... 0.2도씩 증가하는 조건등으로... 예전의 경험을 되살려 보면 한조건으로 잡기 힘들때 이런식으로 조건을 바꿔가면서 돌리던지 혹은 step PCR이란 방법을 써도 괜찮더라구요. 얼른 좋은 결과 얻으시길...
    저의 경우에는 primer의 Tm이 70도라 하여도 60도 근처에서 돌리면 잘 나오던데요... 저라면 이 경우에 95도 5분 95도 40초 60도 40초 72도 1분, 30 cycles 72도 10분 4도 무한대... 어떤 분이 말씀 하신 것처럼 nest PCR의 전단계의 목적으로만 이 PCR을 하시는 거라면 80ul보다는 20 혹은 30ul로 하셔도 무방할것 같구요. 만약 이 과정에서 전혀 product가 나오지 않으면, annealing temp에 변화를 주곤 합니다. 57도에서 매 싸이클마다 0.2도씩 증가하는 조건이라든지... 0.2도씩 증가하는 조건등으로... 예전의 경험을 되살려 보면 한조건으로 잡기 힘들때 이런식으로 조건을 바꿔가면서 돌리던지 혹은 step PCR이란 방법을 써도 괜찮더라구요. 얼른 좋은 결과 얻으시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