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6-29
org.kosen.entty.User@269568c6
박정하(junghayah)
- 4
NRK cell에 cisplatin, LY, RP, DMSO등을 넣어 반응시킨후,
proapoptotic factor bak와 bax로 항체 반응을 시켰습니다.
cisplatin이 positive control로 작용할꺼라고 생각했습니다만
amount의 변화와 degradation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proapoptotic factor에 대해서 APOPTOSIS 반응이 일어날때 positive control로 무엇을 사용할수 있습니까?
drug 이나 다른 factor가 있는지요...
있으면 실험방법에 관해서도 자세하게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lysosome marker로는 어떤 것을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제가 nrk ceㅣㅣ을 가지고 실험을 하므로
rat에 반응하는 안티바디 추천부탁드립니다.
- apoptosis
- proapoptotic factor
- lysosom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정철웅님의 답변
2006-07-06- 0
아무리 봐도 초보이신 것 같아서 실험 디자인도 검토 해보시라고 한마디 하겠습니다. cisplatin을 처리해서 apoptosis가 일어나는 것은 확인 하셨는지요? apoptosis를 유발하는 조건은 어떻게 잡으셨는지요? 예를 들면 농도와 시간을 정하기 위해서 몇개의 농도와 몇 가지의 시간을 사용하셨는지? bak와 bax로 항체 반응을 본것은 cell death가 몇 % 일어났을때 보셨는지요? 같은 기관에서 나온 세포주라고 해도 반응이 다를 수 있습니다. 조건에 따라서 원하는 현상을 볼 수 있는 시간대가 다릅니다. 현재 세포사멸 관련 해서는 특히 cisplatin과 같은 항암제의 경우 많은 참고 문헌이 있습니다. 최대한 많은 관련 논문 보시고 실험하시기 바랍니다. >NRK cell에 cisplatin, LY, RP, DMSO등을 넣어 반응시킨후, >proapoptotic factor bak와 bax로 항체 반응을 시켰습니다. >cisplatin이 positive control로 작용할꺼라고 생각했습니다만 >amount의 변화와 degradation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 >proapoptotic factor에 대해서 APOPTOSIS 반응이 일어날때 positive control로 무엇을 사용할수 있습니까? >drug 이나 다른 factor가 있는지요... >있으면 실험방법에 관해서도 자세하게 부탁드립니다. > >그리고 lysosome marker로는 어떤 것을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제가 nrk ceㅣㅣ을 가지고 실험을 하므로 >rat에 반응하는 안티바디 추천부탁드립니다. > > -
답변
정철웅님의 답변
2006-07-06- 0
이런 질문은 pubmed를 이용하시는 것이 훨씬 빠른 답을 얻으실 것 같군요. 그래도 답을 한다면 proapoptotic factor로는 staurosporin, cadmium, UV 등이 NRk 세포에서 사용 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논문을 찾아 보시기 바랍니다. Eur J Cell Biol. 2006 May 10; Dual effects of staurosporine on A431 and NRK cells: Microfilament disassembly and uncoordinated lamellipodial activity followed by cell death. Toxicol Sci. 2006 May;91(1):299-308. Cadmium-induced apoptosis in rat kidney epithelial cells involves decrease in nuclear factor-kappa B activity J Pharmacol Exp Ther. 2006 Mar;316(3):1175-86.Modulation of expression of rat mitochondrial 2-oxoglutarate carrier in NRK-52E cells alters mitochondrial transport and accumulation of glutathione and susceptibility to chemically induced apoptosis. Prostaglandins Leukot Essent Fatty Acids. 2005 Aug;73(2):127-37. High dose of lipoxin A4 induces apoptosis in rat renal interstitial fibroblast -
답변
박정하님의 답변
2006-07-06- 0
우선 답변 감사드리고 논문제목까지 너무 감사드립니다. 추가로... cisplatin을 처리해서 apoptosis가 일어나는 것을 전 bax와 bak의 안티바디를 이용하게 간단하게 보려고 했습니다만 전혀 변화가 없더군요 논문을 참고 했을땐 puma는 시스플라틴에 의해 아포토시스가 일어나면 양의 변화가 확실히 보임니다만 안보이더라구요. 전혀 변화가 없는것입니까? 아님 다른 방법으로 봐야하는건가요? 논문을 참고해도 위에 제가 원한 방법으로 bax나 bak의 양이 변했거나 등으론 확인이 된걸 본적이 없는거 같습니다. 더 복잡하게 들어가야 하는거 같기두 하구요. 이제 주 목적 실험이 아니라 처음이기도 하고 어디서 손을 대야할지 막막하기도 합니다... 그럼 또 염치불구하고 귀찮게 해드리네요. -
답변
정철웅님의 답변
2006-07-20- 0
우선 답변 감사드리고 논문제목까지 너무 감사드립니다. 추가로... cisplatin을 처리해서 apoptosis가 일어나는 것을 전 bax와 bak의 안티바디를 이용하게 간단하게 보려고 했습니다만 전혀 변화가 없더군요 논문을 참고 했을땐 puma는 시스플라틴에 의해 아포토시스가 일어나면 양의 변화가 확실히 보임니다만 안보이더라구요. 전혀 변화가 없는것입니까? 아님 다른 방법으로 봐야하는건가요? 논문을 참고해도 위에 제가 원한 방법으로 bax나 bak의 양이 변했거나 등으론 확인이 된걸 본적이 없는거 같습니다. 더 복잡하게 들어가야 하는거 같기두 하구요. 이제 주 목적 실험이 아니라 처음이기도 하고 어디서 손을 대야할지 막막하기도 합니다... 그럼 또 염치불구하고 귀찮게 해드리네요. --> 일단 다른 방법으로 apoptosis를 확인 하셨는지요? 예를 들어 caspase activation, annexin V staining 등의 방법을 이용해서 세포사멸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을 하셨나요? bax나 bak의 양이 변했거나 등으로 확인 하는 것은 세포 사멸 유무를 밝히는 방법이 아니라 세포 사멸이 어떻게 일어나냐를 확인 하는 것입니다. 또 제 기억이 맞다면 bax의 경우 sample 만들 때 세포 상태와, detergent 종류에 따라서 구조가 바뀝니다. 항체의 종류도 매우 중요하니 논문을 많이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저도 찾는데로 올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