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7-05
org.kosen.entty.User@325e8546
김여진(denselit)
- 1
망간이나 MnO2가 전기화학 환원 반응이나 환원 반응 또는 polymerization에 참여할 때
(촉매로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아님 관련 서적이나 문헌이라도 소개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망간
- 촉매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2006-07-06- 0
>망간이나 MnO2가 전기화학 환원 반응이나 환원 반응 또는 polymerization에 참여할 때 >(촉매로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아님 관련 서적이나 문헌이라도 소개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망간 [manganese] 주기율표 제7A족에 속하는 전이원소. 원소기호 Mn 원자번호 25 원자량 54.9381 녹는점 1,244℃ 끓는점 1,962℃ 비중 7.2∼7.45 원소기호 Mn, 원자번호 25, 원자량 54.938이다. 녹는점 약 1,244℃, 끓는점 약 1,962℃이며, 비중은 형태에 따라 7.2∼7.45이다. 원자가는 대개 2가나 4가, 또는 7가이다. 연( �망간석은 옛날부터 자철석(��&:magnetite)의 변종이라 하여 마그네시아(magnesia)로 불려왔는데, 토르베른 O.베리만(Torbern O. Bergman)과 1744년 스웨덴의 화학자인 카를 W.셸레(Karl W.Scheele)가 이들이 전혀 다른 광석임을 밝혀냈다. 그리고 같은 해에 J.고틀리프 간(J.Gottlieb Gahn)은 탄(�과 연망간석을 혼합 가열하여 그때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금속으로서 분리하고, 이를 마그네슘(magnesium)이라 명명하였다. 그러나 그후에 발견된 마그네슘과 혼동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1808년 크로프로트에 의해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이 이름은, 연망간석이 고대 로마에서 이미 산화철에 의한 유리의 착색에 대한 색지움에 사용되었던 데서, 깨끗이 한다는 뜻의 그리스어 manganizo 또는 마법이라는 뜻의 manganon에 연유한다고 한다. 주요광석으로는 연망간석을 비롯하여 경망간석·망가나이트·갈(褐)망간석·하우스먼나이트·능(E)망간석·테프로이트 등이 있으며, 철광석에도 상당한 양이 함유되어 있다. 유리상태(0��로는 산출되지 않는다. 클라크수 0.09(제12위)로, 철에 이어 가장 널리 분포하는 중금속이며, 소량이라면 지구상의 어디에서나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해저에서는 망간단괴로서 존재하여 해양자원으로 개발이 요구된다. 산출국은 주로 러시아와 구소련에 속했던 나라들, 남아프리카공화국·가나·모로코·브라질·오스트레일리아·인도·중국 등이다. 성질은 주기율표 7A족의 첫 원소로서, 분홍색을 띤 회색이며 화학작용이 활발하다. 순수한 것은 은백색인 금속이고, 탄소를 함유하면 회색이 된다. 겉모양은 철과 비슷하지만, 철보다 단단하고 부서지기 쉽다.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지닌 α, β, γ, δ 4가지 동소체(���가 있는데, 그들 사이의 전이온도(���는 다음과 같다. α= β 700℃ β= γ 1,079℃ γ= δ 1,143℃ 알루미늄으로 환원시키는 테르밋법에 의해 생기는 것은 α와 β의 혼합물이고, 전해법(���에 의하여 생기는 전해망간은 γ이다. γ망간은 다른 것에 비하여 연하므로 비교적 쉽게 굽히거나 절단할 수 있으나, 실온(�)에서는 α망간으로 이행하기 쉽다. 각종 물질과 잘 반응하며, 괴상(��인 것은 공기 중에서 표면이 산화되지만, 가열해도 그 이상은 산화되지 않는다. 분말도 잘 산화되며, 때로는 발화하는 경우도 있다. 미세한 분말은 서서히 분해되는데, 특히 염화암모늄이 존재하면 분해가 두드러진다. 묽은 산에 잘 녹아, 수소를 발생하여 망간염을 만든다. 진한 황산, 진한 질산에도 녹아 아황산가스와 산화질소를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원소와 화합물을 만든다. 제조법은 다음과 같다. 공업적으로는 페로망간의 형태로 제조되는 일이 많다. 금속으로 석출시킬 때는 보통 건식법과 전해법이 사용된다. 건식법에서는 망간의 산화물을 규소 또는 알루미늄으로 환원시켜 얻는데, 이것은 전열(��망간이라 불리며 순도(�는 96% 정도이다. 전열망간은 붉은 회색이며, 잘 쪼개지고 전성(�g)이 적다. 불순물은 철·탄소·인·규소 등이다. 전해법에 의하여 생기는 전해망간은 정제한 황산망간의 황산산성용액에 황산암모늄을 가하고, 납합금을 전극으로 하여 음극에 망간을 석출시킨다. 순도는 99.97% 정도이다. 용도는 공업적으로는 제강용( 鋼 �으로서 철합금의 일종인 페로망간(망간 60∼80%)이 가장 중요한데, 강재(鋼=)의 유해성분인 황을 조절하기 위하여 필요한 존재이다. 이밖에 알루미늄합금·마그네슘합금, 구리 및 구리합금에도 탈산, 기계적 성질의 개선, 내식성 등을 위하여 첨가되기도 하며, 특수 고(L)망간강·구리-망간합금·니켈-망간합금·알루미늄-망간합금·망간브론즈 등 중요한 합금의 구성금속으로도 널리 사용된다. 화합물은 산업에 널리 이용된다. 이산화망간은 페인트나 광택제에 포함된 기름을 산화시키는 촉매가 되므로 건조제로 사용된다. 또 건전지나 유리 속에 쇠의 불순물이 들어가 녹색을 띠는 것을 제거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동식물과 인간에게 소량 필요한 영양분이기도 하다. 망간은 황산망간 용액의 전기분해에 의하여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광석이나 순도가 높은 광석으로 만들어 판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