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7-06
org.kosen.entty.User@5b47e6
나소영(chaos2001)
- 3
primary cell culture를 하고 있는데 trypsin으로 떼어내서 큰 well로 옮기는 과정을
반복하다보면 처음에 보이던 모양이 흐트러지는 경우가 있는데 trypsin이
그 원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trypsin을 처리하면 세포에 어떤영향을 끼치는지, 세포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단백질 생성등에 영향을 미치는지, 단지 세포의 모양만 변형이 되는 것인지 알고 계시거나
자료를 가지고 있는 분은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 trypsin
- primary cell cultur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정철웅님의 답변
2006-07-06- 0
trypsin이 세포내에 어떤 영향을 주기 보다는 세포가 바닥에서 떨어짐으로서 발생되는 스트레스 시그널의 반복에 의한 변화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되도록이면 초기에 실험하시고 되도록이면 계대 배양을 많이 안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답변
민보경님의 답변
2006-07-07- 0
Trypsin은 단백질 분해효소로 세포막에 있는 adherent protein과 배양접시 바닥에 코팅되어 있는 물질과의 결합을 끊고 세포간의 결합도 분리시키는 기능을합니다. Trypsin과 함께 많이 쓰이는 EDTA는 이런 단백질들간의 결합을 위해 필요한 Ca2+와 같은 2가 양이온을 chelator로 작용하여 제거하므로써 결합력이 낮아지게 합니다. 일반적으로 trypsin은 세포막에 노출되어 있는 모든 단백질을 비선택적으로 분해하기 때문에 장시간 트립신에 노출되어 있으면 세포가 타격을 입고 결국 죽게됩니다. 이 때 FBS(fetal bovine serum)나 trypsin inhibitors를 처리하면 트립신의 활성을 억제하여 세포가 더 이상의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근본적으로 primary cell culture는 immortalized cell line과는 다르므로 배양이 진행됨에 따라 고유의 특성을 잃고 점차 죽어가도록 되어있습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줄기세포들도 자기재생능력은 있다고 하나 계대배양횟수가 늘어날수록 일부의 세포들은 지속적으로 분화하며 고유한 특성이 변하게 됩니다. 그래서 primary cell culture를 하는 경우엔 배양기술 및 조건을 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지요.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primary cell culture를 하고 있는데 trypsin으로 떼어내서 큰 well로 옮기는 과정을 >반복하다보면 처음에 보이던 모양이 흐트러지는 경우가 있는데 trypsin이 >그 원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trypsin을 처리하면 세포에 어떤영향을 끼치는지, 세포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단백질 생성등에 영향을 미치는지, 단지 세포의 모양만 변형이 되는 것인지 알고 계시거나 >자료를 가지고 있는 분은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 -
답변
홍동호님의 답변
2006-10-05- 0
>primary cell culture를 하고 있는데 trypsin으로 떼어내서 큰 well로 옮기는 과정을 >반복하다보면 처음에 보이던 모양이 흐트러지는 경우가 있는데 trypsin이 >그 원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trypsin을 처리하면 세포에 어떤영향을 끼치는지, 세포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단백질 생성등에 영향을 미치는지, 단지 세포의 모양만 변형이 되는 것인지 알고 계시거나 >자료를 가지고 있는 분은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 세포도 여러가지 기원에 따라 달라집니다. 저도 비장, 간, 쥐 섬유아세포등 primary 세포배양에 대한 경험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세포의 종류에 따라 배양하면서 모양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암덩어리에서 암세포를 분리하는 경우 트립신의 처리를 하면서 fibroblast가 계속 사라집니다. 이렇게 다양한 세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세포에 영향은 없고 일시적인 작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