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이방성과 등방성 구분은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십니까? 흔히 이방성/등방성 등으로 구분하는데.. 이방성 흑연 시트의 경우 면방향과 두께 방향의 열전도도의 차이가 많아 이방성이라 합니다. 금속같은 경우는 등방성이라 합니다. 제가 알고 싶은 것은 이방성과 등방성을 구분짓는 경계가 있는것인지 자료 출처라도 알려 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 isotopic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안녕하십니까? >흔히 이방성/등방성 등으로 구분하는데.. >이방성 흑연 시트의 경우 면방향과 두께 방향의 열전도도의 차이가 많아 이방성이라 합니다. >금속같은 경우는 등방성이라 합니다. > >제가 알고 싶은 것은 이방성과 등방성을 구분짓는 경계가 있는것인지 >자료 출처라도 알려 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흑연이나 혹은 페라이트의 경우 입자가 육방정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중 c축이 더긴 형태가 되며 이러한 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는 형태를 이방성이라고 하며 일정하지 않게 멋대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가 등방성이라고 합니다. 한자의 의미하고 정반대죠.. 즉 이방화되었다는 얘기는 어떤 특정방향으로의 열전도 혹은 자속밀도가 더 높다는 것을 얘기합니다.
    >안녕하십니까? >흔히 이방성/등방성 등으로 구분하는데.. >이방성 흑연 시트의 경우 면방향과 두께 방향의 열전도도의 차이가 많아 이방성이라 합니다. >금속같은 경우는 등방성이라 합니다. > >제가 알고 싶은 것은 이방성과 등방성을 구분짓는 경계가 있는것인지 >자료 출처라도 알려 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흑연이나 혹은 페라이트의 경우 입자가 육방정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중 c축이 더긴 형태가 되며 이러한 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는 형태를 이방성이라고 하며 일정하지 않게 멋대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가 등방성이라고 합니다. 한자의 의미하고 정반대죠.. 즉 이방화되었다는 얘기는 어떤 특정방향으로의 열전도 혹은 자속밀도가 더 높다는 것을 얘기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박상언님의 답변

    >안녕하십니까? >흔히 이방성/등방성 등으로 구분하는데.. >이방성 흑연 시트의 경우 면방향과 두께 방향의 열전도도의 차이가 많아 이방성이라 합니다. >금속같은 경우는 등방성이라 합니다. > >제가 알고 싶은 것은 이방성과 등방성을 구분짓는 경계가 있는것인지 >자료 출처라도 알려 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결정학적으로 등방성은 입방정계(cubic, 정육면체 형태)에서 각 축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있으며 또한 정방정계(직육면체, tetragonal)에서는 c-축에 대해서 등방성 입니다. 이방성은 사방정계(orthorhombic)처럼 결정구조에서 a 또는 b 축에 수직한 면에서 이루는 각 축의 격자거리가 다른 경우에 설명되어집니다. 금속의 경우 대부분이 입방정계이기에 등방성이라고 합니다. 이방성의 경우는 각 축에 대해서 굴절율, 격자간격 등 다르기 때문에 열전도도 등 물리적 특성의 차이가 언급이 됩니다. 투명한 결정소재의 경우 이방성등은 편광현미경으로 쉽게 확인도 가능합니다. 제 생각으로 의뢰자께서 문의하신 등방성, 이방성은 금속 재료에서 언급하는 내용으로 아마도 참고 자료를 읽어보시면 이방성, 등방성의 정의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3.4절, 3.5절 참고)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십니까? >흔히 이방성/등방성 등으로 구분하는데.. >이방성 흑연 시트의 경우 면방향과 두께 방향의 열전도도의 차이가 많아 이방성이라 합니다. >금속같은 경우는 등방성이라 합니다. > >제가 알고 싶은 것은 이방성과 등방성을 구분짓는 경계가 있는것인지 >자료 출처라도 알려 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결정학적으로 등방성은 입방정계(cubic, 정육면체 형태)에서 각 축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있으며 또한 정방정계(직육면체, tetragonal)에서는 c-축에 대해서 등방성 입니다. 이방성은 사방정계(orthorhombic)처럼 결정구조에서 a 또는 b 축에 수직한 면에서 이루는 각 축의 격자거리가 다른 경우에 설명되어집니다. 금속의 경우 대부분이 입방정계이기에 등방성이라고 합니다. 이방성의 경우는 각 축에 대해서 굴절율, 격자간격 등 다르기 때문에 열전도도 등 물리적 특성의 차이가 언급이 됩니다. 투명한 결정소재의 경우 이방성등은 편광현미경으로 쉽게 확인도 가능합니다. 제 생각으로 의뢰자께서 문의하신 등방성, 이방성은 금속 재료에서 언급하는 내용으로 아마도 참고 자료를 읽어보시면 이방성, 등방성의 정의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3.4절, 3.5절 참고) 좋은 하루 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황병철님의 답변

    >안녕하십니까? >흔히 이방성/등방성 등으로 구분하는데.. >이방성 흑연 시트의 경우 면방향과 두께 방향의 열전도도의 차이가 많아 이방성이라 합니다. >금속같은 경우는 등방성이라 합니다. > >제가 알고 싶은 것은 이방성과 등방성을 구분짓는 경계가 있는것인지 >자료 출처라도 알려 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재료공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로 재료의 방향에 따른 성질의 의존도를 이방성(anisotropy)이라 하고, 재료에 방향에 관계없이 성질을 나타내는 것을 등방성(isotropy)라 합니다. 시중에 나와있는 일반 재료공학 책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십니까? >흔히 이방성/등방성 등으로 구분하는데.. >이방성 흑연 시트의 경우 면방향과 두께 방향의 열전도도의 차이가 많아 이방성이라 합니다. >금속같은 경우는 등방성이라 합니다. > >제가 알고 싶은 것은 이방성과 등방성을 구분짓는 경계가 있는것인지 >자료 출처라도 알려 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재료공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로 재료의 방향에 따른 성질의 의존도를 이방성(anisotropy)이라 하고, 재료에 방향에 관계없이 성질을 나타내는 것을 등방성(isotropy)라 합니다. 시중에 나와있는 일반 재료공학 책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영진님의 답변

    >안녕하십니까?>흔히 이방성/등방성 등으로 구분하는데..>이방성 흑연 시트의 경우 면방향과 두께 방향의 열전도도의 차이가 많아 이방성이라 합니다.>금속같은 경우는 등방성이라 합니다.>>제가 알고 싶은 것은 이방성과 등방성을 구분짓는 경계가 있는것인지>자료 출처라도 알려 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등방성과 이방성의 경우 종횡비의 차이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십니까?>흔히 이방성/등방성 등으로 구분하는데..>이방성 흑연 시트의 경우 면방향과 두께 방향의 열전도도의 차이가 많아 이방성이라 합니다.>금속같은 경우는 등방성이라 합니다.>>제가 알고 싶은 것은 이방성과 등방성을 구분짓는 경계가 있는것인지>자료 출처라도 알려 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등방성과 이방성의 경우 종횡비의 차이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