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7-10
org.kosen.entty.User@5d6c8c34
임동혁(storynara)
- 1
질문 1> 열전도성 고분자와 일반 고분자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질문 2> 일반 고분자에 열전도성을 높힐 수 있는 방법이 열전도성 필러를 넣는 방법 이외에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질문 3> 전기전도성과 열전도성이 분자적 관점에서 어떤 차이가 있나요?
추가설명 : 금속은 전기전도성 열전도성 모두 좋지만 전기전도성만 좋은 물질도
열전도성만 좋은 물질도 있지않나요? 어떤 분자 모양이 되야 열전도성이나
전기전도성을 가지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conductivity
- thermal conductivit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한철종님의 답변
2006-07-18- 0
>질문 3> 전기전도성과 열전도성이 분자적 관점에서 어떤 차이가 있나요? > 추가설명 : 금속은 전기전도성 열전도성 모두 좋지만 전기전도성만 좋은 물질도 > 열전도성만 좋은 물질도 있지않나요? 어떤 분자 모양이 되야 열전도성이나 > 전기전도성을 가지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열전달은 전자에 의한 열전달과 포논에 의한 열전달 두가지의 합으로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 습니다. 그래서 전기전도도가 좋은 물질이 일반적으로 열전도도도 좋아지는 것이구요, 하지만 열전도도가 가장 높은 물질중의 하나인 다이아몬드는 전기 부도체임에도 불구하고 은(~400 W/mK) 보다도 높은 열전도도(~1000w/mK) 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보면, 전자 만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님을 알수 있구요, 사파이어같은 경우도 특이한게 결정방향으로 a, b 축으로는 40~50 W/mK 정도의 열전도도를 보이는 반면 c 축으로는 800 W/mK 정도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결정구조의 영향도 매우 큼을 알 수 있지요 > >질문 1> 열전도성 고분자와 일반 고분자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일반 고분자는 대개 1 미만 (보통 0.2 내외) 의 열전도 계수를 갖는 반면 열전도성 고분자는 1 이상의 값을 갖는다고 보면 되겠네요 > >질문 2> 일반 고분자에 열전도성을 높힐 수 있는 방법이 열전도성 필러를 넣는 방법 이외에 >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 잘은 모르는데 전기 전도성 고분자의 열전도도도 올라갈것 같긴 하네요. 구조를 잘 제어하면 될 듯 할것도 같은데 어떤 구조로 해야하는지는 글쎄요. 선행연구가 되어 있을것도 같은데 찾아보면 될것 같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