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FTIR 분석결과에 의문을 풀어 주세요~!

저는 바이오매스를 흡착제로 사용하여 반응성염료를 제거하는 실험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매스와 반응성염료간의 결합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하여 FTIR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FTIR 결과에 의문이 있어 문의를 하게 되었습니다. 분석샘플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반응성염료만 2. 바이오매스만 3. pH 11에서 반응성 염료가 흡착된 바이오매스 세 가지 샘플에 대한 FTIR 스펙트럼을 비교해본 결과 1160 cm-1(P=O stretching)와 1077 cm-1(P-OH stretching)에 해당하는 피크가 2번 샘플에는 존재하는데 3번 샘플에서 없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실험한 조건은 반응성염료가 섬유에 결합하는 조건과 흡사하며 섬유의 -OH그룹에 반응성염료가 붙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pH 11 에서 일어난 흡착은 섬유와 반응성염료가 결합하는 메커니즘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며 바이오매스의 -OH그룹과 결합을 할 것으로 생각되어 집니다. 하지만 FTIR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B-O-POOO2-에 반응성염료가 결합하여 B-O-DYE, -POOO2-로 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pH 11에서 이런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지, 아니면 1160, 1077 cm-1가 반응성염료가 붙은 바이오매스에서 없어졌는지 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 biomass
  • reactive dye
  • mechanism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심용호님의 답변

    예를 들어서 어떤 매체를 썼으며, 사용된 시료는 어떤 제품이며 등. 그리고 가능하다면 스펙트럼을 올려주시면 해석하는데 도움을 드릴수 있을것 같습니다. 또 떠오르는 질문은, P=O가 있다고 하시는데 그럼 1750대에서도 피크가 있었나요? 한곳에서 나온 피크를 가지고 IR을 해석하는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전체적인 스펙트럼을 보면서 해석을 하는것이 더 좋을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서 어떤 매체를 썼으며, 사용된 시료는 어떤 제품이며 등. 그리고 가능하다면 스펙트럼을 올려주시면 해석하는데 도움을 드릴수 있을것 같습니다. 또 떠오르는 질문은, P=O가 있다고 하시는데 그럼 1750대에서도 피크가 있었나요? 한곳에서 나온 피크를 가지고 IR을 해석하는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전체적인 스펙트럼을 보면서 해석을 하는것이 더 좋을것 같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원성욱님의 답변

    제가 올려던 질문은 저희 학교 내 교수님께 문의하여 해결을 하였습니다. 답변을 주신 rodys님께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 주시기 부탁드립니다.
    제가 올려던 질문은 저희 학교 내 교수님께 문의하여 해결을 하였습니다. 답변을 주신 rodys님께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 주시기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