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cloning vector/// domain

제가 알고 싶은건 두가지인데요 우선 cloning vector와 expression vector의 차이점에 관해 알고싶습니다. 또한 어떤 특정한 유전자가 있다면 prodomain과 mature domain부분으로 나눌수 있던데 이것들의 차이에 관해 알고 싶습니다.
  • cloning vector
  • mature domain
  • prodomai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정철웅님의 답변

    >제가 알고 싶은건 두가지인데요 > >우선 cloning vector와 expression vector의 차이점에 관해 알고싶습니다. > >또한 어떤 특정한 유전자가 있다면 prodomain과 mature domain부분으로 나눌수 있던데 이것들의 > >차이에 관해 알고 싶습니다. 우선 cloning vector와 expression vector의 차이점은 목적에 맞게 구성요소가 다르죠. 즉 cloning vector는 유전자를 cloning해서 amplify하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promoter는 필요가 없고 replication origin만 있죠. 반대로 expression vector의 경우 발현하고자 하는 숙주에 맞게 프로모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replication origin도 가지고 있죠. mammalian expression vector의 경우 세포주를 만들기 위해 antibiotic resistant 마커를 추가로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prodomain과 mature domain은 단백질의 활성을 protease에 의해서 조절 할때 주로 많이 쓰이는 용어 입니다. 보통 N-terminal에 prodomain이 있는데 이 것이 달려 있으면 비활성 상태로 구조를 이루고 있다가, 잘려져 나가면 활성이 되는 구조로 바뀌게 됩니다. 이때 남아서 활성을 이루는 도메인을 mature domain이라고 합니다.
    >제가 알고 싶은건 두가지인데요 > >우선 cloning vector와 expression vector의 차이점에 관해 알고싶습니다. > >또한 어떤 특정한 유전자가 있다면 prodomain과 mature domain부분으로 나눌수 있던데 이것들의 > >차이에 관해 알고 싶습니다. 우선 cloning vector와 expression vector의 차이점은 목적에 맞게 구성요소가 다르죠. 즉 cloning vector는 유전자를 cloning해서 amplify하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promoter는 필요가 없고 replication origin만 있죠. 반대로 expression vector의 경우 발현하고자 하는 숙주에 맞게 프로모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replication origin도 가지고 있죠. mammalian expression vector의 경우 세포주를 만들기 위해 antibiotic resistant 마커를 추가로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prodomain과 mature domain은 단백질의 활성을 protease에 의해서 조절 할때 주로 많이 쓰이는 용어 입니다. 보통 N-terminal에 prodomain이 있는데 이 것이 달려 있으면 비활성 상태로 구조를 이루고 있다가, 잘려져 나가면 활성이 되는 구조로 바뀌게 됩니다. 이때 남아서 활성을 이루는 도메인을 mature domain이라고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