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7-22
org.kosen.entty.User@2aba17b
김봉숙(ninepence)
- 1
신경세포막에서의 휴지막 전압의 현성을 Na+ equilibrium potential과 K+ equilibrium 그리고
membrane permeability 현상 등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또한 활동전위가 발생하는 과정에서의
탈분극 현상을 임계전압 그리고 voltage-gated Na+ 및 K+ 채널의 움직임과 관련하여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Depolariz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박재식님의 답변
2006-07-22- 0
>신경세포막에서의 휴지막 전압의 현성을 Na+ equilibrium potential과 K+ equilibrium 그리고 > >membrane permeability 현상 등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또한 활동전위가 발생하는 과정에서의 > >탈분극 현상을 임계전압 그리고 voltage-gated Na+ 및 K+ 채널의 움직임과 관련하여 설명해 >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간단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휴지막전압은 K+ equilibrium potential과 비슷합니다. 휴지기에는 Na+ permeability보다 K+ permeability가 크기 때문입니다. (Goldman의 식을 잘 생각해 보십시오) 활동전압 시에는 Na+ permeability가 K+ permeability보다 훨씬 커져서 Na+ equilibrium potential과 비슷해집니다. (Goldman의 식을 잘 생각해 보십시오) 즉, Na+ permeability가 커진다는 것은 막전압-의존성 Na+ 통로가 열린다는 말입니다. 활동전압 후반기에 막전압-의존성 K+ 통로가 열리면 막전압은 다시 휴지기 시와 같은 막전압으로 내려오겠습니다. (역시 Goldman의 식을 잘 생각해 보십시오) 임계전압이란 막전압-의존성 Na+ 통로를 열 수 있을 전압을 의미하겠습니다. 투과도가 충분할 경우 즉, 문이 완전히 열려 있을 경우 각 전압에서 전류(이온 이동)는 electrochemical gradient(전위차와 농도차에 따른 이온의 수동이동)가 어느 방향으로 될지 계산해 보시면 될 것입니다. 이해가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