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DNA vaccine에 관련하여

저는 생물학 및 면역학에 관한 background가 별로 없는 학생입니다. DNA vaccine에 관한 논문을 읽다가 cloning vector에 antigen이 될 단백질에 대한 DNA sequence를 넣고 또 다른 vector에는 그 sequence 앞에 secretion ability를높이기 위해 Immunoglobulin κ (아마도 Ig의 light chain 인가보죠?) ignal sequence 를 넣었다고 했는데 이게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Ig Light chain 의 signal sequence를 붙여줌으로 인해서 secretion ability가 증가하는지.. 그리고 또 논문에서 antigen의 sequence 뒤에 Ig Fc sequece를 추가하여 stability준다고 하였는데 이것 또한 어떤 원리로 인하여 이렇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간단하게나마라도 설명 부탁드립니다 ㅠㅠ
  • vaccine
  • veto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윤철희님의 답변

    >저는 생물학 및 면역학에 관한 background가 별로 없는 학생입니다. > >DNA vaccine에 관한 논문을 읽다가 > >cloning vector에 antigen이 될 단백질에 대한 DNA sequence를 넣고 > >또 다른 vector에는 그 sequence 앞에 secretion ability를높이기 위해 > >Immunoglobulin κ (아마도 Ig의 light chain 인가보죠?) ignal sequence 를 넣었다고 했는데 > >이게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 >어떻게 Ig Light chain 의 signal sequence를 붙여줌으로 인해서 secretion ability가 > >증가하는지.. > >그리고 또 논문에서 antigen의 sequence 뒤에 Ig Fc sequece를 추가하여 stability준다고 > >하였는데 이것 또한 어떤 원리로 인하여 이렇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간단하게나마라도 설명 부탁드립니다 ㅠㅠ 우선 상용화되어진 벡터에는 많은 경우에 항체의 light chain 중 하나인 kappa chain의 signal sequence가 이미 들어있습니다. 세포내에서 만들어진 펩타이드나 단백질을 세포밖으로 내보내기 위해 필요한 펩타이드를 signal sequence 또는 leading sequence라하며 이들은 cytosol의 단백질을 세포내벽쪽으로 유도하여 궁극적으로 세포막을 통하여 secretion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만들어진 단백질이 hydrophobic하면 세포막 사이에 tranmaembrane을 형성하여 수용체와 같은 세포표면 단백질이 되는 것이고 사이토카인이나 다른 분비되는 단백질은 세포밖으로 분비가 되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이러한 leading sequence가 있으면 세포밖으로의 분비가 높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Fc-stability 관계는 정확하게 어떤 의미인지는 모르지만 (원문내용이 좀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추정을 해보자면.. degradation이 되는 것을 낮추어주므로서 stability를 높일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고.. 사실 이보다 더 중요한 것 중 하나는 Fc는 (Fc가 IgG에서 온 것 이라면) 특정 세포표면의 CD16, CD32, CD64와 affinity가 높습니다. 따라서 이들 세포로의 binding을 훨씬 잘 유도하여 줄 것입니다. 도움되셨길 바라며, 좋은 실험 되세요..
    >저는 생물학 및 면역학에 관한 background가 별로 없는 학생입니다. > >DNA vaccine에 관한 논문을 읽다가 > >cloning vector에 antigen이 될 단백질에 대한 DNA sequence를 넣고 > >또 다른 vector에는 그 sequence 앞에 secretion ability를높이기 위해 > >Immunoglobulin κ (아마도 Ig의 light chain 인가보죠?) ignal sequence 를 넣었다고 했는데 > >이게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 >어떻게 Ig Light chain 의 signal sequence를 붙여줌으로 인해서 secretion ability가 > >증가하는지.. > >그리고 또 논문에서 antigen의 sequence 뒤에 Ig Fc sequece를 추가하여 stability준다고 > >하였는데 이것 또한 어떤 원리로 인하여 이렇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간단하게나마라도 설명 부탁드립니다 ㅠㅠ 우선 상용화되어진 벡터에는 많은 경우에 항체의 light chain 중 하나인 kappa chain의 signal sequence가 이미 들어있습니다. 세포내에서 만들어진 펩타이드나 단백질을 세포밖으로 내보내기 위해 필요한 펩타이드를 signal sequence 또는 leading sequence라하며 이들은 cytosol의 단백질을 세포내벽쪽으로 유도하여 궁극적으로 세포막을 통하여 secretion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만들어진 단백질이 hydrophobic하면 세포막 사이에 tranmaembrane을 형성하여 수용체와 같은 세포표면 단백질이 되는 것이고 사이토카인이나 다른 분비되는 단백질은 세포밖으로 분비가 되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이러한 leading sequence가 있으면 세포밖으로의 분비가 높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Fc-stability 관계는 정확하게 어떤 의미인지는 모르지만 (원문내용이 좀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추정을 해보자면.. degradation이 되는 것을 낮추어주므로서 stability를 높일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고.. 사실 이보다 더 중요한 것 중 하나는 Fc는 (Fc가 IgG에서 온 것 이라면) 특정 세포표면의 CD16, CD32, CD64와 affinity가 높습니다. 따라서 이들 세포로의 binding을 훨씬 잘 유도하여 줄 것입니다. 도움되셨길 바라며, 좋은 실험 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