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8-04
org.kosen.entty.User@6fcb61
신순철(sunfe)
- 2
어떤 플라스틱 마그네트의 극성이 부적합하게 특정 부위에서 자기특성이 높게 나오는데, 원인이
어디에 있을까요?
착자요크는 일본업체에서 점검을 했는데 특별한 문제는 없는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 no good manetiz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배균님의 답변
2006-08-07- 0
>어떤 플라스틱 마그네트의 극성이 부적합하게 특정 부위에서 자기특성이 높게 나오는데, 원인이 >어디에 있을까요? >착자요크는 일본업체에서 점검을 했는데 특별한 문제는 없는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착자요크가 문제가 없다고 가정한다면, 의문사항은 다극착자 후 특정부위의 표면 자속이 많이 나온다는 사항인지 또는 감자시 자성이 불균일하다는 것인지 어떤 자기특성을 말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추정한여, 먼저 자속에 관련한 사항이면 단위 체적당 자성체가 불균일하게 분포할 경우 표면자속 값이 저하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간단히 자성재료 책을 찾아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2006-08-14- 0
>어떤 플라스틱 마그네트의 극성이 부적합하게 특정 부위에서 자기특성이 높게 나오는데, 원인이 >어디에 있을까요? >착자요크는 일본업체에서 점검을 했는데 특별한 문제는 없는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착자요크를 검토했을때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피착자물을 성형할 때 사출성형으로 하시는거 같은데, 아마도 금형에 잔류자기가 남아 피착자물을 사출할 때 이방화되는거 같습니다. 해결책으로 금형을 탈자 시킨후 재작업을 해야 해결될 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