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ω3=n3, ω6=n6 지방산에서 n?

불포화 지방산 중 DHA EPA등을 오메가3(ω3) 지방산이라고 합니다. 이때 ω3의 ω의 개념은 압니다만 n3의 n은 무엇을 뜻하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n3('number'3)라는 뜻으로 말단에서 3번째라는 뜻인가요? 정확히 'n'이 무엇을 뜻하는지 위와 같이 단순히 번호나 순위를 나타내는 number로 쓰인건지.. 알고 싶습니다.
  • w3
  • DH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Omega 3 = alpha-linolenic acid = LNA = ALA = w3 = w-3 = n3 = n-3 Omega 6 = linoleic acid = LA = w6 = w-6 = n6 = n-6 으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Omega-3 지방산에는 linolenic (18:3 n-3), eicosapentanoic (20:5 n-3), and docosahexaenoic acid (22:6 n-3).이 포함되고 Omega 6 지방산에는 linoleic (18:2 n-6) and arachidonic acid (20:4 n-6)이 포함됩니다. linolenic acid의 경우에는 뒤에 18:3 n-3이 붙습니다. 이 때 18은 지방산의 탄소 갯수,3은 2중결합의 갯수입니다. 그리고 n-3(=n3)은 지방산으로부터 이중결합이 시작되는 위치를 의미합니다. 특히 n3는 지방산의 말단에서 3번째 탄소라는 의미입니다..오메가가 최종 원소이고 그 원소 -3에 있는 탄소를 의미합니다.. >불포화 지방산 중 DHA EPA등을 >오메가3(ω3) 지방산이라고 합니다. > >이때 ω3의 ω의 개념은 압니다만 >n3의 n은 무엇을 뜻하는지 궁금합니다. > >혹시 n3('number'3)라는 뜻으로 말단에서 3번째라는 뜻인가요? >정확히 'n'이 무엇을 뜻하는지 위와 같이 단순히 번호나 순위를 나타내는 number로 쓰인건지.. 알고 싶습니다. > >
    Omega 3 = alpha-linolenic acid = LNA = ALA = w3 = w-3 = n3 = n-3 Omega 6 = linoleic acid = LA = w6 = w-6 = n6 = n-6 으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Omega-3 지방산에는 linolenic (18:3 n-3), eicosapentanoic (20:5 n-3), and docosahexaenoic acid (22:6 n-3).이 포함되고 Omega 6 지방산에는 linoleic (18:2 n-6) and arachidonic acid (20:4 n-6)이 포함됩니다. linolenic acid의 경우에는 뒤에 18:3 n-3이 붙습니다. 이 때 18은 지방산의 탄소 갯수,3은 2중결합의 갯수입니다. 그리고 n-3(=n3)은 지방산으로부터 이중결합이 시작되는 위치를 의미합니다. 특히 n3는 지방산의 말단에서 3번째 탄소라는 의미입니다..오메가가 최종 원소이고 그 원소 -3에 있는 탄소를 의미합니다.. >불포화 지방산 중 DHA EPA등을 >오메가3(ω3) 지방산이라고 합니다. > >이때 ω3의 ω의 개념은 압니다만 >n3의 n은 무엇을 뜻하는지 궁금합니다. > >혹시 n3('number'3)라는 뜻으로 말단에서 3번째라는 뜻인가요? >정확히 'n'이 무엇을 뜻하는지 위와 같이 단순히 번호나 순위를 나타내는 number로 쓰인건지.. 알고 싶습니다.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