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cell culture medium 의 유통기한은 어떻게 되나요??

일반적으로 cell cuture medium 으로 사용하고 있는, DMEM 의 유통기한은 어떻게 되죠?? invitrogen에서 나온 파우더 형태의 DMEM을 사용하고 있는데, 한꺼번에 1L를 만들어서 냉장보관하고 있거든요. 또, DMEM 에 FBS를 10% 첨가하였을 때의 유통기한은 어떻게 되나요?? PBS 역시도 보관 방법이나, 유통기한이 알고 싶습니다. 항상 다 쓰면 다시 만들어쓰는 식으로 하고 있는데, 정확한 유통기한이나 보관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유통기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도 알고 싶구요.. 이와 마찬가지로 in vitro fertilization 시 사용하는 Tris-buffered medium과 In vitro culture 시 자주 사용되는 NCSU-23 의 사용기한을 알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BSA를 첨가하면 유통기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 cell cuture medium
  • mTBM
  • NCSU-23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성환님의 답변

    FBS를 넣지 않은 액생배지나 파우더 형태의 배지는 유통기한이 별도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FBS를 첨가하게 되면 두가지 이유로 빨리 사용할 수록 좋을 것 같습니다. 1) FBS에 있는 growth factor등의 활성이 시간이 지나면 지날 수록 낮아질 수 있습니다. 2) 보관기한이 길거나 조금씩 지속적으로 사용하다보면 contamination될 확률이 높아져서 오래된 배지는 cell culture에는 아주 좋질 않습니다. BSA도 마찬가지로 단백질이기 때문에 쉽게 변할 수 있으며 또한 오염에서도 자유롭지는 못합니다. 그에 비해 PBS는 좀 더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일반적으로 cell cuture medium 으로 사용하고 있는, DMEM 의 유통기한은 어떻게 되죠?? >invitrogen에서 나온 파우더 형태의 DMEM을 사용하고 있는데, 한꺼번에 1L를 만들어서 냉장보관하고 있거든요. 또, DMEM 에 FBS를 10% 첨가하였을 때의 유통기한은 어떻게 되나요?? >PBS 역시도 보관 방법이나, 유통기한이 알고 싶습니다. 항상 다 쓰면 다시 만들어쓰는 식으로 하고 있는데, 정확한 유통기한이나 보관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유통기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도 알고 싶구요.. > >이와 마찬가지로 in vitro fertilization 시 사용하는 Tris-buffered medium과 In vitro culture 시 자주 사용되는 NCSU-23 의 사용기한을 알고 싶습니다. > >마지막으로, BSA를 첨가하면 유통기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FBS를 넣지 않은 액생배지나 파우더 형태의 배지는 유통기한이 별도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FBS를 첨가하게 되면 두가지 이유로 빨리 사용할 수록 좋을 것 같습니다. 1) FBS에 있는 growth factor등의 활성이 시간이 지나면 지날 수록 낮아질 수 있습니다. 2) 보관기한이 길거나 조금씩 지속적으로 사용하다보면 contamination될 확률이 높아져서 오래된 배지는 cell culture에는 아주 좋질 않습니다. BSA도 마찬가지로 단백질이기 때문에 쉽게 변할 수 있으며 또한 오염에서도 자유롭지는 못합니다. 그에 비해 PBS는 좀 더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일반적으로 cell cuture medium 으로 사용하고 있는, DMEM 의 유통기한은 어떻게 되죠?? >invitrogen에서 나온 파우더 형태의 DMEM을 사용하고 있는데, 한꺼번에 1L를 만들어서 냉장보관하고 있거든요. 또, DMEM 에 FBS를 10% 첨가하였을 때의 유통기한은 어떻게 되나요?? >PBS 역시도 보관 방법이나, 유통기한이 알고 싶습니다. 항상 다 쓰면 다시 만들어쓰는 식으로 하고 있는데, 정확한 유통기한이나 보관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유통기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도 알고 싶구요.. > >이와 마찬가지로 in vitro fertilization 시 사용하는 Tris-buffered medium과 In vitro culture 시 자주 사용되는 NCSU-23 의 사용기한을 알고 싶습니다. > >마지막으로, BSA를 첨가하면 유통기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현호님의 답변

    1. 일반적으로 cell cuture medium 으로 사용하고 있는, DMEM 의 유통기한은 어떻게 되죠? --> 일반적으로는 insert나 표시기재된 유효기간을 따릅니다. 2. invitrogen에서 나온 파우더 형태의 DMEM을 사용하고 있는데, 한꺼번에 1L를 만들어서 냉장보관하고 있거든요. 또, DMEM 에 FBS를 10% 첨가하였을 때의 유통기한은 어떻게 되나요? --> 유효기간은 짧을 수록 좋습니다. 대개 1주일 이내에 사용하고, FBS를 넣은 것은 좀 더 사용이 가능한 것 같더군요. 그런데, 앞의 답변자님께서 설명하셨듯이 아무리 P/S와 같은 항생제를 넣더라도 사용기간이 길면 오염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가능한 짧게 사용하시는 게 fresh하고,pH가 변화가 적어 하므로 cell에 좋습니다. 3. PBS 역시도 보관 방법이나, 유통기한이 알고 싶습니다. 항상 다 쓰면 다시 만들어쓰는 식으로 하고 있는데, 정확한 유통기한이나 보관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그리고 유통기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도 알고 싶구요. --> PBS는 buffer이므로, 사용기간은 꽤 깁니다. 보통 10X로 제조하여 사용시마다, 1L씩 dilution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10X buffer는 상온보관하는 것이 결정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좋으나, 단, 역시 시약이므로 온도가 높거나, 직사광선은 피하시는게 pH 변화가 않되는데에 도움이 될 것 같네요. 그리고, 무기염이라 오래 두면 미생물이 번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하세요. 또, 1X buffer는 냉장보관하여 사용시마다 꺼내어 쓰시는게 일반적입니다. 4. 이와 마찬가지로 in vitro fertilization 시 사용하는 Tris-buffered medium과 In vitro culture 시 자주 사용되는 NCSU-23 의 사용기한을 알고 싶습니다. --> PBS와 마찬가지로 정확한 사용기간이 명시된 것은 없습니다. 다만, buffer를 사용하는 이유는 급격한 pH의 변화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이 능력이 다하면 buffer의 생명이 다한 것일 겁니다. buffer는 H+이온의 변화에 대해 시계반응을 통해 항상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안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5. 마지막으로, BSA를 첨가하면 유통기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 어디에 첨가하신다는 뜻인지...왜 BSA를 첨가하려고 하시나요? BSA와 같은 Protein은 당연히 많은 영향을 미치겠죠. 어떤 목적으로 그런건지 이해하지 못해 답변을 제시할 수 없네요.
    1. 일반적으로 cell cuture medium 으로 사용하고 있는, DMEM 의 유통기한은 어떻게 되죠? --> 일반적으로는 insert나 표시기재된 유효기간을 따릅니다. 2. invitrogen에서 나온 파우더 형태의 DMEM을 사용하고 있는데, 한꺼번에 1L를 만들어서 냉장보관하고 있거든요. 또, DMEM 에 FBS를 10% 첨가하였을 때의 유통기한은 어떻게 되나요? --> 유효기간은 짧을 수록 좋습니다. 대개 1주일 이내에 사용하고, FBS를 넣은 것은 좀 더 사용이 가능한 것 같더군요. 그런데, 앞의 답변자님께서 설명하셨듯이 아무리 P/S와 같은 항생제를 넣더라도 사용기간이 길면 오염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가능한 짧게 사용하시는 게 fresh하고,pH가 변화가 적어 하므로 cell에 좋습니다. 3. PBS 역시도 보관 방법이나, 유통기한이 알고 싶습니다. 항상 다 쓰면 다시 만들어쓰는 식으로 하고 있는데, 정확한 유통기한이나 보관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그리고 유통기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도 알고 싶구요. --> PBS는 buffer이므로, 사용기간은 꽤 깁니다. 보통 10X로 제조하여 사용시마다, 1L씩 dilution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10X buffer는 상온보관하는 것이 결정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좋으나, 단, 역시 시약이므로 온도가 높거나, 직사광선은 피하시는게 pH 변화가 않되는데에 도움이 될 것 같네요. 그리고, 무기염이라 오래 두면 미생물이 번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하세요. 또, 1X buffer는 냉장보관하여 사용시마다 꺼내어 쓰시는게 일반적입니다. 4. 이와 마찬가지로 in vitro fertilization 시 사용하는 Tris-buffered medium과 In vitro culture 시 자주 사용되는 NCSU-23 의 사용기한을 알고 싶습니다. --> PBS와 마찬가지로 정확한 사용기간이 명시된 것은 없습니다. 다만, buffer를 사용하는 이유는 급격한 pH의 변화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이 능력이 다하면 buffer의 생명이 다한 것일 겁니다. buffer는 H+이온의 변화에 대해 시계반응을 통해 항상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안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5. 마지막으로, BSA를 첨가하면 유통기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 어디에 첨가하신다는 뜻인지...왜 BSA를 첨가하려고 하시나요? BSA와 같은 Protein은 당연히 많은 영향을 미치겠죠. 어떤 목적으로 그런건지 이해하지 못해 답변을 제시할 수 없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