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04
org.kosen.entty.User@48bf7f82
- 1
domestic animal의 embryo를 가지고 immunostaining을 하던중 4N HCl을 처리하는 과정이 있는데, 이 처리과정이 왜 필요한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이 처리과정 후에 background staining을 하면 전체적으로 noise signal이 심합니다. target protein은 잘 잡는데 말이죠.
immunostaining 고수님들께 질문드려 봅니다..
- immunohistochemistry
- immunostaining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6-09-04- 0
아마도 antigen retrieval 때문일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formaldehyde (formalin)은 aldehyde group를 통해 biomolecule의 cross-linking을 유도하여 fixing시키는 효과가 나타나게 됩니다. 조직을 고정시킬 경우 조직의 안쪽 부분까지 침투시키기 위해 장시간 formaldehy 용액에 조직을 담궈두게 되는데 그럴 경우 바깥쪽 조직은 과도한 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럴 경우, antibody에 대한 epitope이 masking되어 antigen-antibody reaction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formalin-fixed sample에 antibody를 처리하기 전에 antigen retrieval 과정을 거치는 경우가 많은데 주로 열처리를 하거나, protease를 처리하거나, extreme pH 용액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이럴 경우 immunoreactivity가 증가하지만 background signal도 같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immunostaining에 큰 문제가 없다면 4N HCl을 처리하는 과정을 생략해도 무방하며 만약 immunoreactivity가 약하다면 농도를 낮추거나 처리시간을 짧게하거나 아니면 다른 antigen retrieval 방법을 사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조금 오래되었지만 기본적인 얘기가 잘 나와 있는 논문을 하나 첨부하겠습니다. >domestic animal의 embryo를 가지고 immunostaining을 하던중 4N HCl을 처리하는 과정이 있는데, 이 처리과정이 왜 필요한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이 처리과정 후에 background staining을 하면 전체적으로 noise signal이 심합니다. target protein은 잘 잡는데 말이죠. > >immunostaining 고수님들께 질문드려 봅니다..